장관 직속 수급추계위에 "현행법과 다를 바 없다" 반발
독립성·전문성 보장 수용 안 했다 판단 "목소리 듣는 척만"
의료인력수급추계위원회를 보건복지부 장관 직속으로 두는 보건의료인력지원법 개정안이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법안심사소위원회를 통과하자 대한의사협회가 개선된 게 없다며 반발했다. 전문성과 독립성 보장이라는 의료계 요구가 전혀 반영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대한의사협회 박단 부회장은 27일 SNS에 법안소위 통과 소식을 인용해 수급추계위의 "복지부 장관 직속은 말장난에 불과하다"며 소위원장인 강선우 의원을 향해 "윤석열 대통령 독재 방식을 지지하느냐"고 직격했다. 박 부회장은 전날(26일)에도 정부 수정안에 반대 의사를 밝혔다. 박 부회장은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장이기도 하다.
의협은 수급추계위 독립을 강조하며 보건의료정책심의위원회(보정심) 산하에 두는 방안에 반대해 왔다. 이에 정부는 정책 결정 과정에 보정심은 그대로 두되 수급추계위를 보정심이 아닌 장관 직속에 두는 수정안을 제시했다.
그러나 "보정심에서 결정한 내용을 토대로 교육부 장관과 협의하는 구조는 현행법과 실질적으로 같은 구조"라는 게 박 부회장 입장이다. 지난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결정 절차를 두고 논란이 벌어졌을 때 복지부 조규홍 장관이 대통령 지시냐는 물은에 결정자가 본인이라고 밝힌 점을 상기시켰다.
박 부회장은 "만에 하나라도 대통령 탄핵이 인용되지 않으면 (의대 정원 증원을 결정했을 때처럼) 똑같이 할 것"이라면서 "강 의원은 (대통령의 정책 추진 방식을) 그대로 하자는 말이냐"고 했다. 의료 인력 수급 추계는 "40~50년 대한민국 미래를 좌우하는 사안"이라면서 "논의가 지난하다며 '좋아, 빠르게 가!'라고 할 수 있느냐"고 했다. '좋아, 빠르게 가!'는 윤 대통령이 후보 시절 공약 실천을 강조하고자 내세운 표현이나 이후 독선적인 태도를 풍자하는 '밈'으로 쓰이고 있다.
박 부회장은 "(정책을) 이런 식으로 할 거라면 기준 금리 결정도 사회적 합의로 하라"고 했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에 "노동자 단체와 시민 단체, 소비자 단체를 넣으라"면서 "이 나라에 전문가가 필요하긴 하느냐"고 했다.
그러면서 "이럴 거면 국회 공청회는 왜 하고 간담회는 왜 했느냐. 결국 목소리 듣는 척만 했다"면서 "이런 수급추계위를 만들어 봤자 전공의와 의대생은 아무도 돌아가지 않는다"고 했다.
관련기사
- 2026년 의대 정원 조정법 복지위 법안소위 통과…“의료계 입장 최대 수용”
- 총장 선발권 뺀 새 대안 나왔지만…박단 "차이 없다…여전히 '어용기구'"
- 경실련·노조·환자단체 “밀실 협상으로 의대 정원 동결 안돼”
- 신영석 원장 “보사연 연구, 복지부 정책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 줘야”
- "국회와의 대화, 정부로 이어지길"…의료계, 경색 국면 해소 기대↑
- 환자단체 “전공의 집단사직 의료공백 1년, 입법으로 해소해야”
- [칼럼] 의료 파행 1년, 정말 이렇게 갈 것인가
- "국회가 더 적극적 역할을"…웃으며 만난 우원식·김택우·박단
- 소득 없던 공청회…국회의장 간담회는 다를까
- 소득 없이 끝난 의료인력 수급추계위 공청회…이주영 “표류하나”
- 정형선 교수, 의평원 불인증 판정에 “의사 공동이익 생각” 비판
- 일본이 의대 정원 조정에 성공한 이유…“정치 문제 빼야”
- 의료인력 수급추계위 '구성' 강조하는 醫…"전문가 과반 이상돼야"
- "'침묵하는 다수' 전공의 지쳐가…대안 세워 정부와 협상 나서야"
- 의협 "잘못된 의대 증원 계속하겠다는 것…법안 재고하라"
- 2025학번 수강 신청자조차 없는 의대 10곳
- 사직 전공의들 “수평위, 병협 위탁 아닌 독립기구로 개편 필요”
- 총장들도 26학년 '원복' 수용했지만 "이미 피해…너무 늦었다"
- 근무 일수 열흘만 늘려도 '확' 바뀌는 의사 인력 추계
- 2027년 의대 정원 수급추계위 결정…관련 법 복지위 통과
- 의사 출신 의원들 “수급추계위법 통과돼도 의대생·전공의 안 돌아와”
- 강선우 의원 “의협, 수급추계위 병협 배제 등 다 들어줬는데 훼방”
- 수급추계위법 통과에 의협 "심각한 흠결 그대로…유감"
- ‘수급추계위법’ 본회의 통과…"의료계, 전문가 추천해야"
- [단독] 의협, 의료인력수급추계위 참여한다
- 의협 대화 제안에 정치권은 '싸늘'…"누가 대표인가"
- '선봉장'에서 '독불장군'까지…박단을 보는 복잡한 시선들
- 국정기획위가 그리는 '이재명표 보건의료정책' 방향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