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대, 토론회 열고 인천시 공공의대 설립 전략 논의
박태준 교수 “공공의료·공중보건·국제보건 기능으로 차별화”
이용갑 연구위원 "국립대병원 신설해 공공의료전달체계 마련해야"

인천대학교는 지난해 10월부터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 100만명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출처: 인천대학교 홈페이지).
인천대학교는 지난해 10월부터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서명운동을 진행하고 있다(사진출처: 인천대학교 홈페이지).

지자체들의 ‘공공의대 유치 경쟁’이 치열한 가운데, 인천대가 감염병 전문인력 양성과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며 군불 지피기에 나섰다.

인천대 생명과학부 박준태 교수는 21일 오후 교수회관에서 열린 ‘인천시 공공의료 강화와 인천대 공공의대 설립을 위한 토론회’에서 신종 감염병 연구를 위해 인천대에 공공의대를 설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을 계기로 감염병에 대한 연구 강화와 이를 공중보건에 적용해야 한다는 지적은 목소리는 높아지고 있지만, 현재 보건·감염병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공공의대는 거의 없다고 했다.

이에 박 교수는 인천대의 감염병 분야 연구 경험을 바탕으로 인천대 의대가 감염병 매개체와 동물, 병원균을 함께 연구하는 감염병 연구에 특화된 공공의대가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인천대는 지난 2020년부터 교육부가 선정한 감염병 연구 대학중점연구소로 선정돼 유전체분석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감염병 매개곤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또한, 지난 2017년 질병관리청으로부터 기후변화 감염병 매개체 감시센터로 지정됐다.

박 교수는 인천시가 인천국제공항과 인천항 등 연간 7,000만명이 드나드는 관문도시라는 점도 강조했다. 외국에서 감염병이 유입되는 최전방 지역으로서 감염병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인천대에 공공의대가 설립돼야 한다는 주장이다.

인천연구원 이용갑 선임연구위원도 인천 지역의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인천대에 공공의대가 설립돼야 한다며 힘을 보탰다.

이 위원은 ‘인천광역시 공공의료 인프라 현황과 과제’를 발제하며 주요 중진료권 권역의 현황을 살펴봤을 때 인천시와 울산시에만 권역책임의료기관의 역할을 수행할 국립대병원이 존재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한 인천시에 공공의료기관, 병상, 인력 등 인프라가 부족하다고 했다. 이 위원에 따르면, 지난 2020년 전국 지자체의 의료기관 중 공공의료기관 비율을 비교했을 때, 인천은 4.1%로 전국 평균 5.5%에 못 미치고 있다.

공공병상 비율도 전국 평균이 9.7%인 반면 인천은 4.5%다. 전국 광역시의 공공의료기관의 인력 규모를 비교했을 때, 인천시는 인구 10만명 당 의사 수가 4명으로, 울산광역시에 이어 2번째로 낮았다.

이에 이 위원은 인천시 공공의료 확충을 위해 인천대 공공의대와 연계하는 방식으로 국립대병원을 신설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를 통해 인천지역에서 공공의료 서비스 제공을 확대하고, 국립대병원을 권역책임의료기관으로 지정해 지역 의료기관과 협력 가능한 공공의료체계를 마련할 수 있다는 게 이 위원의 설명이다.

또한 공공의대를 통해 인천 지역 공공의료기관에서 근무 가능한 의료인력과 바이오헬스산업 전문 보건의료 연구인력 등을 양성하게 되면 지역 의료인력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한편, 현재 국회에 발의된 공공의대 신설법안은 총 11건으로, 더불어민주당 김교흥 의원은 지난 2021년 9월 9일 인천대에 공공의대를 신설하는 '국립대학법인 인천대학교 설립·운영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발의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