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회·KAMC 여야의정 참여에 전공의 다수 '부정적'
"정부·여당만 좋은 일…협의 나와도 인정 못해" 비판
"이대로는 불리…누군가 나서야" 의견도…"해결책 기대"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젊은 의사 반응은 엇갈렸다. "이번에도 의대생과 전공의를 버렸다"는 비판 속에 누군가는 정부를 견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2일 의학회와 KAMC가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발표한 직후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전공의 다수는 두 단체가 "정부 거수기 역할"에 그칠 거라고 봤다.
서울 지역 수련병원 사직 전공의 A씨는 "당사자인 의대생과 전공의가 아닌 그 관리자들이 나선 격이다. 이들 단체가 어떤 대표성이 있느냐"고 했다. 설령 "좋은 성과를 내도" 의대생과 전공의가 그 결과를 "인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A씨는 여야의정협의체 합의를 "(정부가 실현할지) 회의적"이라고 했다.
전라 지역 수련병원을 나온 전공의 B씨도 "정부에 명분만 줬다"고 비판했다. 여야의정협의체 자체가 "정부와 정치권의 출구전략이자 해결한다는 시늉이 목적"이므로 "궁지에 몰린 정부와 여당만 살려줬다"고 했다.
충청 지역 수련병원을 사직한 전공의 C씨는 "교수 단체는 도움이 안 되면 가만히라도 있어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전공의 대표가 엄연히 있는데 왜 관련 없는 단체가 전공의 의견을 대변하려는지 모르겠다. 전공의 내부 반발이 심하다"고 전했다.
젊은 의사 사회가 우려하던 "2020년 의정 협상 과정이 반복"될 거란 우려도 나왔다. 의학회를 통해 대한의사협회가 여야의정협의체와 소통하면 의대생과 전공의 대표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나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사실상 제외당한다"는 것이다.
수도권 수련병원을 사직한 전공의 D씨는 "의협은 '우리는 참여 안 한다'고 해도 한통속이다. 의대생과 전공의 단체를 제외하고 의협과 교수단체들은 여야의정협의체에 다 참여한다고 봐야 한다"며 "이번에도 의대생과 전공의는 버림받았다"고 했다.
충청 지역 의대를 휴학한 E씨는 "여야의정협의체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누던 복지부 장·차관 경질과 사과,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전공의, 의대생 입장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며 "2020년 대전협 패싱의 기억을 가진 전공의나 의대생들은 현재 상황에 반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려가 크지만 정부와 대화는 해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 지역 대학병원 사직 전공의 F씨는 "대다수 전공의가 2020년 '날치기 합의'가 재현되지 않을까 우려한다"면서도 "정부가 전공의 이권을 빼앗고 불합리한 조치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누군가는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작지만 존재한다"고 했다. 정부와 소통 창구는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F씨 역시 "현행 유지는 불리하다고 생각해 협의체 참여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의협이 직접 나서는 건 역효과라고 했다. 임현택 회장이 '전공의 분열 시도' 등 사유로 불신임(탄핵) 위기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의학회가 의협보다 믿을 만하다고 했다.
서울 지역 의대를 휴학한 의대생 G씨는 "의학회와 KAMC가 여야의정협의체에 의료계 전체 의견을 반영할 수 있을지 확신은 들지 않는다"면서도 "현재 상황을 해결하려면 건설적인 대화는 있어야 한다"고 했다.
두 단체가 이미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결정했고 정부와 여야가 환영한 만큼 "부디 학생과 전공의 의견이 잘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모쪼록 현명한 발언으로 환자와 병원 그리고 현재와 미래를 고루 아우르는 해결책이 나오길 바란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학회-KAMC 협의체 참여 소식에 여야정 “환영”
- 의협 "여야의정 참여 결정 존중…사전 소통했다" [전문]
- '여야의정 참여' 의학회·KAMC "휴학, 25년 정원 논의해야"[전문]
- 정부 압박에도 전공의들 "끝까지 싸우겠다…함께해달라"
- 흔들리는 의협 위상…“회원 의지 반영 안되는 그들만의 리그”
- MZ세대만의 반기 아니다…“임현택 집행부, 플랜 부재로 신뢰 잃어”
- 2020년 전공의 파업 이끌던 대전협 회장이 보는 2024년 집단행동
- “돌아올 의대생·전공의에 미안하지 않으려면” 고민하는 교수들
- 박단 "당신들은 어디에서 무얼 하고 있나"…선배 의사들 저격
- 박단 "의협 '증원 백지화' 입장 변화? 전공의·의대생 대변 안 해"
- 여야의정협의체 급물살 타는데 전공의·의대생, 임현택 회장 ‘손절’
- "의대 증원 철회보다 '말 잘 듣는 후배'의 귀환 바라는 선배들"
- ‘총대’ 멘 의학회에 교수들 “용기 있는 결정”…“무의미” 회의론도
- 전공의·의대생은 여야의정 '거부'…대전협·의대협 "참여 안 한다"
- 환자단체 "대전협·의협 없는 여야의정협의체는 반쪽짜리'"
- 여야의정협의체 급물살 속 의협 만난 종교계 "중재안 내겠다"
- 미국으로 눈 돌리는 의대생·전공의들…재미한인의사협회도 놀랐다
- “의학회, 의대생·전공의 버리고 한국의료 정치권에 팔았다 ”
- 민주당 "전공의·의대생 빠진 여야의정, '팥소 없는 찐빵'"
- 여야 "협의체 되려면 휴학 승인해야"…복지부 "교육부와 협의"
- 조규홍 장관 “전공의 미복귀 시 '플랜B' 있다”
- 박단, 의학회·KAMC에 "정치인 편승 아닌 제자 마음 헤아려야"
- 의학회 참여 조건 ‘25년 정원’ 복지부 “듣겠지만 조정 불가”
- 전의교협,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유보…“의학회·KAMC 결정 존중”
- 교육부 “의학회·KAMC 참여 환영”…조건부 휴학 승인은 ‘고수’
- 증원 입장 변화 없는 政…의학회·KAMC “협의체 들어가서 설득”
- 의협 임현택 회장 탄핵안 발의…3일 만에 대의원 103명 서명
- 개원가 학술대회 참석자 절반이 전공의…“이대로면 계속 악화”
- "개원의·교수, 자리 지킬 때 아냐…'폭정' 맞서 함께 일어나야"
- "의대 증원, 고3은 수혜라지만 고2는 기회 박탈될 수도"
- 교육부, 의대생 휴학 수용하나…국립대 총장들 “대학에 맡겨달라”
- 교육부, 의대생 휴학 승인…의협·의학회 반겼지만 의대생은 ‘싸늘’
- 의학회 “민주당, 여야의정협의체 참여해 달라”
- 반년 만에 '회장 불신임' 임총…"전공의는 이미 임현택 회장 탄핵"
- 중대본, 여야의정협의체 醫 참여 거듭 당부…"전공의 역할 중요"
- "자식같은 전공의·의대생? 상호 대등 관계로 재정립해야"
- 의대생들 "의대 증원 백지화 관철" 내년에도 투쟁 이어간다
- 의대생들, 내년에도 휴학하나…의대협 "정부 의료 개악 저지"
- 어떻게 해야 국민이 의사들 주장에 공감할까
- '여의정' 참여 아쉬움 비친 의학회, 정부 '사과'는 긍정 평가
- 의정 갈등 이후 '각자도생 시대'…醫 내부 거버넌스 한계 숙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