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회·KAMC 여야의정 참여에 전공의 다수 '부정적'
"정부·여당만 좋은 일…협의 나와도 인정 못해" 비판
"이대로는 불리…누군가 나서야" 의견도…"해결책 기대"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전공의 다수는 비판했지만 대화는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전공의 다수는 비판했지만 대화는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에 젊은 의사 반응은 엇갈렸다. "이번에도 의대생과 전공의를 버렸다"는 비판 속에 누군가는 정부를 견제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22일 의학회와 KAMC가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발표한 직후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전공의 다수는 두 단체가 "정부 거수기 역할"에 그칠 거라고 봤다.

서울 지역 수련병원 사직 전공의 A씨는 "당사자인 의대생과 전공의가 아닌 그 관리자들이 나선 격이다. 이들 단체가 어떤 대표성이 있느냐"고 했다. 설령 "좋은 성과를 내도" 의대생과 전공의가 그 결과를 "인정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내다봤다. A씨는 여야의정협의체 합의를 "(정부가 실현할지) 회의적"이라고 했다.

전라 지역 수련병원을 나온 전공의 B씨도 "정부에 명분만 줬다"고 비판했다. 여야의정협의체 자체가 "정부와 정치권의 출구전략이자 해결한다는 시늉이 목적"이므로 "궁지에 몰린 정부와 여당만 살려줬다"고 했다.

충청 지역 수련병원을 사직한 전공의 C씨는 "교수 단체는 도움이 안 되면 가만히라도 있어주면 좋겠다"고 했다. 그는 "전공의 대표가 엄연히 있는데 왜 관련 없는 단체가 전공의 의견을 대변하려는지 모르겠다. 전공의 내부 반발이 심하다"고 전했다.

젊은 의사 사회가 우려하던 "2020년 의정 협상 과정이 반복"될 거란 우려도 나왔다. 의학회를 통해 대한의사협회가 여야의정협의체와 소통하면 의대생과 전공의 대표 단체인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이나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사실상 제외당한다"는 것이다.

수도권 수련병원을 사직한 전공의 D씨는 "의협은 '우리는 참여 안 한다'고 해도 한통속이다. 의대생과 전공의 단체를 제외하고 의협과 교수단체들은 여야의정협의체에 다 참여한다고 봐야 한다"며 "이번에도 의대생과 전공의는 버림받았다"고 했다.

충청 지역 의대를 휴학한 E씨는 "여야의정협의체에서 어떤 이야기를 나누던 복지부 장·차관 경질과 사과, 2025학년도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에서부터 시작해야 한다는 전공의, 의대생 입장은 바뀌지는 않을 것"이라며 "2020년 대전협 패싱의 기억을 가진 전공의나 의대생들은 현재 상황에 반감을 가질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우려가 크지만 정부와 대화는 해봐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서울 지역 대학병원 사직 전공의 F씨는 "대다수 전공의가 2020년 '날치기 합의'가 재현되지 않을까 우려한다"면서도 "정부가 전공의 이권을 빼앗고 불합리한 조치를 이어가는 상황에서 누군가는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도 작지만 존재한다"고 했다. 정부와 소통 창구는 있어야 한다는 주장이다. F씨 역시 "현행 유지는 불리하다고 생각해 협의체 참여는 필요하다고 본다"고 했다.

의협이 직접 나서는 건 역효과라고 했다. 임현택 회장이 '전공의 분열 시도' 등 사유로 불신임(탄핵) 위기이기 때문이다. 그나마 의학회가 의협보다 믿을 만하다고 했다.

서울 지역 의대를 휴학한 의대생 G씨는 "의학회와 KAMC가 여야의정협의체에 의료계 전체 의견을 반영할 수 있을지 확신은 들지 않는다"면서도 "현재 상황을 해결하려면 건설적인 대화는 있어야 한다"고 했다.

두 단체가 이미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결정했고 정부와 여야가 환영한 만큼 "부디 학생과 전공의 의견이 잘 반영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모쪼록 현명한 발언으로 환자와 병원 그리고 현재와 미래를 고루 아우르는 해결책이 나오길 바란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