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대의원회, 내달 10일 임총 불신임·비대위 상정 예정
불신임 가결 가능성 높아…"더 빨리 탄핵했어야" 목소리
일각에선 비대위-새 집행부 잦은 교체 "혼란 키워" 우려도
임현택 대한의사협회장이 불신임(탄핵) 기로에 섰다. 취임 반년 만이다. 오는 11월 10일 임시대의원총회에서 회장 불신임 여부를 결정한다. 같은 날 비상대책위원회 구성도 다룬다. 앞으로 의료계 대표자로서 누가 정부를 상대하느냐가 대의원 손에 달렸다.
의협 대의원회는 29일 저녁 임시 운영위원회를 열고 다음 달 10일 오후 2시 용산 회관에서 '2024년도 긴급 임시대의원총회'를 진행하기로 했다. 지난 8월 31일 임총 이후 약 두 달 만이다. 지난 21일 조현근 대의원(부산)이 제출한 임총 개최 동의서에는 나흘 간 대의원 103명이 서명했다.
안건은 두 가지다. 임 회장 불신임과 '정부 의료농단 저지 및 의료 정상화'를 위한 비대위 구성이다. 회장 불신임안은 재적 대의원 246명 중 3분의 2 이상인 164명이 참석하면 상정한다. 출석 대의원 3분의 2가 찬성하면 가결이다. 즉 대의원 110명 이상이 동의하면 임 회장은 물러나야 한다.
의료계에서는 임 회장이 회장직을 내려놓게 되리란 전망이 우세하다. "'민심'이 사납다"는 것이다. 지난 6개월도 "시간낭비였고" 불신임을 "이제서야" 한다는 반응이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박단 위원장이 공개적으로 임 회장 사퇴를 요구하며 아니면 "끌어내려야 한다"고 말한 게 두 달 전이다.
익명을 요구한 의협 대의원회 A 대의원은 29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판세가 임 회장에게 매우 안 좋다. (탄핵을) 피하기는 어려울 듯하다"고 했다. "사고를 쳐도 해내는 게 있으면 괜찮은데 내놓은 성과가 하나도 없지 않느냐"고 했다. "'초강경파'로서 정국을 돌파할 거란 기대"로 취임 전부터 따라다닌 언행 문제를 회원들이 "눈감아줬지만" 이제 임 회장이 "일으킨 리스크를 의료계가 다 함께 감수할 이유가 없다"고 했다.
마찬가지로 익명을 요구한 B 대의원도 "불신임될 거라 본다. 여론이 안 좋다"고 했다. "비토 여론이야 임기 시작부터 있었다. 일방적으로 집단 휴진을 선언해 시도의사회와 틀어진 게 취임 두 달 차 시점"이라면서 "불만만 누적되고 이를 풀 호재가 전혀 없었다. 전공의들과 사이도 최악이다. 더 빨리 (불신임)했어야 한다는 말이 많다"고 전했다.
이대로 임 회장이 불신임되면 의협은 정관에 따라 60일 내 보궐선거를 치른다. 그간 의료 사태 대응은 임총에서 구성하는 비대위가 맡을 것으로 보인다. 지난 2월 이필수 전 회장 사퇴 후 들어선 비대위도 임 회장 취임 직전까지 대정부 투쟁을 주도했다.
일각에서는 불신임까지 가지 않을 거란 전망도 나온다. 여야의정협의체가 발족을 앞뒀고 정부가 의대생 휴학을 허용하면서 국면 전환을 기대하는 시점에 지도부 교체가 혼란을 부를 거란 우려 때문이다. 임 회장이 취임 직전 당시 비대위와 충돌했는데 "이번 비대위와 새 집행부가 그러지 않으리란 보장이 없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C 대의원은 "개인적으로는 불신임에 찬성한다"고 전제하면서도 "임 회장을 싸움터에서 불러들여도 '다음 선수'가 뚜렷하지 않아 걱정"이라고 했다. C 대의원은 "잠시 비대위가 맡았다가 다시 새 집행부로 교체하는 과정에서 의료계가 혼선을 겪을 수밖에 없다. 이런 우려로 머뭇거리는 대의원도 있을 것"이라고 했다.
여기에 임 회장 지지표를 얹으면 "불신임 저지선을 확보할 가능성도 있다"는 계산이다. 익명을 요구한 의협 관계자 D씨는 "임 회장 지지세가 상당한 지역들이 있다"며 "대화의 장은 마련됐으니 현 집행부가 일선에서 물러나 지원 역할만 하면 전공의 등의 거부 반응도 누그러뜨릴 수 있지 않겠느냐는 의견도 존재한다"고 했다.
그러나 이같은 우려가 "그간 임 회장의 실정을 방관"하고 "의료계가 설 자리를 잃게 한 원인"이라는 반박도 거세다.
익명을 요구한 한 지역의사회 E 회장은 "임 회장은 전공의와 의대생에게 이미 탄핵당한 것이나 마찬가지다. 그만큼 임 회장 불신임은 전공의와 다시 함께할 수 있는 최소한의 요건이다. 선택의 여지는 없다"면서 "비대위를 구성하고 대전협 비대위와 공조해 정부에 대응해야 한다. 의료계가 잃었던 '골든타임'을 복원할 기회"라고 했다.
관련기사
- 의협 대의원회, 임현택에 "대전협과 관계 개선 안 되면 결단 내리길"
- 의협 임현택 회장 탄핵안 발의…3일 만에 대의원 103명 서명
- "전공의 또 버렸다"…'2020년 반복' 우려 속 "대화해야" 목소리도
- 박단 "전공의 괴뢰 집단" 발언에 임진수 "분란 조장은 누구" 반박
- 이번엔 대의원…임현택 회장 '또' 탄핵 위기 "전공의 분열 시도"
- 임현택 회장 불신임 청원 최종 1689명 동의…"무능·독단적" 지적
- 여야의정협의체 급물살 타는데 전공의·의대생, 임현택 회장 ‘손절’
- 단식에도 등돌린 전공의들…‘내상’ 깊은 임현택, 주도권 가져올까
- 대전협 박단 “무능한 임현택 회장, 물러나지 않으면 끌어 내려야”
- 의협 임현택 집행부, 대의원회 비대위 구성에 ‘부정적’
- 시도醫, 임현택 회장 탄핵 경고…"올특위 해체하고 직접 나서라"
- 재정비 들어간 올특위…의료계 투쟁은 어디로?
- 밖으로 막말, 안으로 갈등…의료계 '최대 리스크'된 임현택 회장
- 고개 숙인 임현택 "기회 달라…탄핵은 혼란·분열만" SNS도 삭제
- [기고] 막말과 정치로 전문가단체 와해시킨 의협 회장
- 임총 나흘 앞둔 의협 "탄핵 저지 가능할지도"…'샤이 임현택' 기대?
- '발등 불' 임현택 회장, 대의원에 불신임 막아 달라 호소
- 대전협 "소통 가능한 새로운 회장과 연대" 임현택 탄핵 촉구
- 의대생 대표들도 "임현택 회장 신뢰할 수 없다" 탄핵 촉구
- 의협 탄핵 임총 대의원 90% 참석…임현택 회장 운명은?
- [속보] 임현택 의협 회장 탄핵…대의원 76% 찬성
- 의협, 비대위 체제로…새 회장도 한 달 안에 선출
- 임현택 불신임에 대전협 박단 "결국 모든 일은 바른 길로"
- 선명성 드러내는 박단, 醫비대위원장에 박형욱 교수 지지
- 탄핵된 임현택 SNS 또 논란…"이성 잃었나"
- [의료계 10대 뉴스④] ‘당선부터 탄핵까지’…임현택 6개월 천하
- 의정 갈등 이후 '각자도생 시대'…醫 내부 거버넌스 한계 숙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