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의협, 전공의·교수 단체도 참여해야"
국민의힘 “여야의정협의체 출범 당력 집중”
민주당 "전공의들 참여 위한 여건 만들어야"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하기로 하자 정부와 정치권은 일제히 환영했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입장문을 통해 “의학회와 KAMC의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결정을 환영한다”며 “향후 협의체를 통해 수련환경개선 등 의료개혁 과제에 대한 논의가 이뤄지고 의료시스템이 정상화되는 계기가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대한의사협회와 전공의·교수 단체도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해 달라고 했다. 복지부는 “의협과 전공의, 교수단체 등 의료계 단체들도 협의체에 참여해 줄 것을 요청한다”고 했다.
여야 정치권도 환영의 입장을 밝히고 적극 동참하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여당은 여야의정협의체 출범에 당력을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국민의힘 한지아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결정을 진심으로 환영한다”며 “의료계가 대화와 협력을 통해 정부, 국회와 소통을 강화하고 실질적인 대책을 모색하려는 의지를 보여준 것에 감사드린다”고 말했다.
한 수석대변인은 “여야의정협의체 목표는 국민 건강이고 방법은 대화와 소통이다. 여야의정이 머리를 맞대고 의료공백 사태를 신속히 해결해야 한다”며 “의학회와 KAMC의 참여를 계기로 여야의정 간 활발한 논의가 오갈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도 국민의힘은 국민 생명과 건강을 지키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며 “여야의정협의체 조속한 출범을 위해 당력을 집중하겠다”고도 했다.
민주당 "전공의 참여할 수 있는 여건 마련돼야"
야당은 전공의들이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할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달라고 정부·여당에 당부했다. 의료대란 해결 열쇠를 쥐고 있는 전공의들이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황정아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8개월 째 곽 막혀 있는 의정갈등과 의료대란 난국을 해결할 수 있는 첫걸음이 내디뎌졌음을 환영한다"며 "하지만 풀어내야 할 매듭이 아직 많다. 특히 이번 의료대란 사태 핵심 축이라고 할 수 있는 전공의들이 아직 참여의 뜻을 밝히지 않은 것은 안타까운 일"이라고 말했다.
황 대변인은 "대규모로 이탈한 전공의 복귀 없이는 의정갈등 해소는 쉽지 않다"며 "전공의들이 자유롭게 의견을 밝히고 반영할 수 있는 구조를 만들고 그 구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며 "정부·여당은 여야의정협의체에 전공의들이 참여할 여건이 마련되도록 최선을 다해 줄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했다.
관련기사
- 의협 "여야의정 참여 결정 존중…사전 소통했다" [전문]
- '여야의정 참여' 의학회·KAMC "휴학, 25년 정원 논의해야"[전문]
- ‘빈손’ 면담에 혹평 쏟아낸 野 “정부 눈치 보기 멈출 때”
- 의학회·KAMC,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결정…"의정 사태 해결 위해"
- 80분 마주 앉은 尹-韓 끝내 ‘빈손’
- 박단 "전공의 괴뢰 집단" 발언에 임진수 "분란 조장은 누구" 반박
- 이번엔 대의원…임현택 회장 '또' 탄핵 위기 "전공의 분열 시도"
- "전공의 또 버렸다"…'2020년 반복' 우려 속 "대화해야" 목소리도
- ‘총대’ 멘 의학회에 교수들 “용기 있는 결정”…“무의미” 회의론도
- 전공의·의대생은 여야의정 '거부'…대전협·의대협 "참여 안 한다"
- 환자단체 "대전협·의협 없는 여야의정협의체는 반쪽짜리'"
- 여야의정협의체 급물살 속 의협 만난 종교계 "중재안 내겠다"
- “의학회, 의대생·전공의 버리고 한국의료 정치권에 팔았다 ”
- 민주당 "전공의·의대생 빠진 여야의정, '팥소 없는 찐빵'"
- 조규홍 장관 “전공의 미복귀 시 '플랜B' 있다”
- 박단, 의학회·KAMC에 "정치인 편승 아닌 제자 마음 헤아려야"
- 중대본, 여야의정협의체 醫 참여 거듭 당부…"전공의 역할 중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