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확대전학총회 결의…휴학 등 투쟁법은 16일 결정
여야의정도 거부 "답 정해진 협의체…올바른 거버넌스 아냐"
의대생들이 내년에도 정부 의대 증원 저지를 위한 투쟁을 이어간다. 여야의정협의체도 참여하지 않겠다고 했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15일 서울 강남구 삼성역 인근에서 확대전체학생대표자총회를 열고 ▲시국 문제 규정의 안 ▲향후 협회 행보의 안 ▲회원 권익 보호의 안 ▲시국 문제 종결 방식의 안 등 총 4건에 대해 이같이 결정했다. 이번 총회는 40개 의대 선임대표자 280명 중 270명이 참석했다.
이번 확대전학총회 조주신 의장은 총회 종료 후 언론 브리핑에서 "정부의 비과학적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와 의대 정원 증원 정책의 독단적 추진을 의료 개악으로 규정한다. 이를 저지하고자 의대협의 8대 대정부 요구안 관철을 위한 투쟁을 2025학년도에 진행하기로 의결했다"고 밝혔다. 의대협은 지난 3월 의대 정원 증원 전면 백지화를 포함한 8대 요구안을 발표했다.
조 의장은 "문제 해결은 당사자의 목소리를 외면한 채 소통을 흉내 내서 이뤄지지 않는다. 책임을 시인하고 문제의 근원을 전향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이 과정에서 학생이 외압으로 차별받지 않도록 투쟁하겠다"며 이같은 투쟁의 '종결'은 "총 회원의 의사를 반영할 수 있는 형태로 정하겠다"고 했다.
휴학 등 구체적인 투쟁 방향은 오는 16일 열리는 의대협 전체학생대표자총회 4분기 정기총회에서 결정해 발표하기로 했다. 의대협은 브리핑 후 질의응답에서 2025학년도 신입생의 투쟁 참여를 두고 "선택은 (개인의) 자율에 맡긴다"면서 "다만 의학 교육 현장 붕괴로 교육 자체가 불가능한 상황이다. 이를 고려해 선택하리라 생각한다"고 했다.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두고 "대통령실이 수 차례 의대협 요구안은 논의 불가능하다고 했다. 결론을 이미 정해놨기 때문에 논의가 이뤄지기 힘든 자리"라고 답했다. 여야의정협의체는 "합리적인 의사 결정을 위한 올바른 거버넌스도 아니다"라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비상대책위원회 참여 여부는 밝히지 않았다.
관련기사
- 尹 대국민담화에 냉랭한 의료계…"답 없다"‧"기대도 안 해"
- 오는 15일 의대생 대표들 모인다…"의대협 방향성 논의"
- 뒤늦은 휴학 승인에 의대생들 "당연한 일"…내년 복학은 미지수
- 교육부, 의대생 휴학 승인…의협·의학회 반겼지만 의대생은 ‘싸늘’
- 증원 입장 변화 없는 政…의학회·KAMC “협의체 들어가서 설득”
- 민주당 "전공의·의대생 빠진 여야의정, '팥소 없는 찐빵'"
- 전공의·의대생은 여야의정 '거부'…대전협·의대협 "참여 안 한다"
- "전공의 또 버렸다"…'2020년 반복' 우려 속 "대화해야" 목소리도
- 의대협 "의평원 개입 시도는 '초법적 조작'…국제 인증 수용하라"
- “의학교육 형해화하는 교육부…이러니 의대생들 돌아오겠나”
- 의대생이 본 의대 증원 "학교에서 배운 근거 기반 완벽히 부정”
- 의대협, 의대 증원 백지화 등 8개 대정부 요구안 발표
- "절대 안 멈춰" 동맹휴학 의대생들 신입생 합류 준비
- 의대생들, 내년에도 휴학하나…의대협 "정부 의료 개악 저지"
- 의협 비대위 다음 주 초 출범…전공의·의대생 비중 키워
- 젊은의사들, 내년도 투쟁 의대협 결정 "동의"‧"존중"
- 증원 고수하는 정부에…의대생·전공의 "올해 복귀 안 한다"
- 2년 차 의대생 휴학 투쟁 전선 흔들기?…"바뀐 게 없는데 왜 돌아가나"
- 수업 재개 앞두고 의대협 비대위 활동 종료 수순 …'전원 복귀' 선언 3주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