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보도자료 내고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공식화
"정부 정책 동의 아냐, 의료 붕괴 묵과할 수 없다"
"의료 정상화 위한 결정…여야정도 진정성 있게 나서야"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대한민국 의료 정상화를 위해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한다고 했다(ⓒ청년의사).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대한민국 의료 정상화를 위해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한다고 했다(ⓒ청년의사).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원칙으로 의대생 휴학과 2025학년도 의대 정원 논의를 제시했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 독립성 보장도 요구했다. 이번 협의체 참여 결정은 "대한민국 의료 정상화"를 위해서라고 했다. 의사 양성에서 시작하는 한국 의료 시스템 붕괴를 "더는 두고 볼 수 없다"고 했다.

의학회와 KAMC는 22일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사실이 알려진 직후 보도자료를 내 참여 결정 이유를 설명하고 "전문가단체로서 책임을 다하겠다"고 했다. 정부와 여야도 "진정성 있는 자세"로 임하라고 했다.

두 단체는 "한국 의료는 붕괴 초입에 들어섰다. 의료인 양성 시스템의 장기 중단 사태는 한국 의료 시스템의 되돌릴 수 없는 붕괴로 이어진다"며 "수백, 수천 번의 번민과 숙고 끝에 백척간두에 선 심정으로 뜻을 모았다"고 했다.

이번 협의체 참여가 정부의 일방정 정책에 "동의하는 것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했다. "올바른 의료를 하겠다는 젊은 의사들의 충정" 역시 지지한다고 했다. 그러나 "의료계를 배제"한 "잘못된 정책"으로 인한 "의료 붕괴를 더 이상은 묵과할 수 없다"고 했다.

두 단체가 제시한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원칙은 다섯 가지다.

먼저 "여야의정협의체 발족에 앞서 대학 자율로 의대행 휴학이 허가돼야 한다"고 했다. "2025학년도와 2026학년도"를 포함해 의대 정원을 논의해야 하고 의사인력 수급 추계 기구 입법화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 계획과 로드맵 설정"이 필요하다고 했다.

의대와 수련기관을 존중하고 교육수련 내실화와 발전을 위한 "국가 정책 수립과 지원을 보장하라"고 했다.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독립성과 자율성도 보장하라고 했다.

의료개혁특별위원회는 개편해 "의료계 모두가 인정하는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책 결정의 장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정부와 여야는 진정성을 가지고 협의해 임하라"면서 "그간 의정 협의 실패의 전철을 밟지 않고 상호 신뢰를 회복해 건설적인 결과가 도출되길 기대한다"고 했다.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협회 입장문

정부의 일방적인 의과대학 입학정원 증원 정책으로, 의과대학 학생들과 전공의들이 학업의 자리와 의료 현장을 떠나는 상황이 벌써 8개월째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 사이 우리 의료의 근간은 크게 흔들렸습니다. 국가와 의료계는 소중한 국민의 생명과 건강을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있습니다. 이런 현실 앞에서 우리는 형언하기조차 힘든 안타까움과 자괴감을 겪어 왔습니다.

우리나라에 현대식 의료가 시작된 이후 지금처럼 엄중한 상황은 없었습니다. 무엇보다, 지금 한국의 의료는 완전한 붕괴의 초입에 들어섰습니다. ‘의과대학 학생-전공의’로 이어지는 의료인 양성 시스템의 장기 중단 사태는, 한국 의료 시스템의 되돌릴 수 없는 붕괴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그 붕괴를 알리는 초침이 ‘째깍 째깍’ 돌아가는 소리가 들립니다. 이에 우리는 수백, 수천 번의 번민과 숙고 끝에 백척간두에 선 심정으로, 다음과 같이 뜻을 모았습니다.

우리는 분명히 밝힙니다. 우리는 그동안 진행되어 온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 추진에 대해 분명히 반대합니다. 또한 올바른 의료를 하겠다는 젊은 의사들의 충정을 전적으로 지지합니다.

그러나, 국민과 환자의 건강을 최우선적으로 생각할 때, 잘못된 정책 결정으로 인한 대한민국 의료의 붕괴를 더 이상은 묵과할 수도 없습니다. 이에, 전공의 수련 교육을 책임지는 대한의학회와 의과대학 학생교육을 담당하는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여야의정협의체(이하 협의체)에 참여하기로 결단을 내렸습니다.

이러한 결단은 대한민국 의료의 미래를 좌우할 중대한 정책들이 의료계를 배제한 채 추진되고 있으며 의대생과 전공의들이 너무나 크나큰 희생을 하고 있는 현실에서, 하루라도 빨리 대한민국 의료가 정상화되기를 바라는 절박한 심정으로 내린 것입니다. 또한, 정부의 일방적인 정책에 대한 동의가 아닌, 정책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 국민의 건강을 지키기 위한 전문가의 책임감에서 비롯된 결정입니다.

우리는 협의체 참여의 원칙으로, 아래의 현안들이 진정성 있게 논의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힙니다.

1. 의과대학 학생이 제출한 휴학계가 여야의정 협의체 발족에 앞서 대학의 자율적 의사에 따라 허가되어야 함을 밝힙니다.

2. 2025년 및 2026년 의과대학 입학정원 논의와 함께 의사정원 추계 기구의 입법화를 위한 구체적인 시행계획과 로드맵을 설정하여야 합니다.

3. 의과대학 학생 교육, 전공의 수련 기관의 자율성을 존중하고 교육과 수련 내실화와 발전을 위한 국가 정책 수립과 지원이 보장되어야 합니다.

4. 의료인력의 자질과 역량을 담보하기 위하여 의학교육의 질적 수준을 평가인증하는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독립성과 자율성 확보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5.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 등에서 의료계의 의견이 반영되지 않은 정책들이 발표되고 있습니다. 의개특위는 개편을 통해 의료계가 모두 인정할 수 있는 투명하고 합리적인 정책 결정의 장으로 운영되어야 합니다.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는 우리나라 의료의 미래를 책임지는 전공의 수련과 의과대학 학생교육의 당사자로서 무한한 책임을 느낍니다. 우리는 정부와 여야 역시 진정성을 가지고 협의에 임해 주기를 충심으로 다시 한번 촉구합니다. 협의체는 그동안 있어왔던 많은 의정 협의 실패의 전철을 결코 밟지 않고, 상호 간의 신뢰를 회복하고 그를 바탕으로 건설적인 결과를 도출할 수 있기를 기대합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