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대표에 유감 "협의체로 뭘 하려는지 의문"
"내년 와도 해결되지 않을 것…젊은의사 큰 상처"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페이스북에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결정한 의학회와 KAMC에 "정치인에 편승하는 게 아니라 제자들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고 직격했다(ⓒ청년의사).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23일 페이스북에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결정한 의학회와 KAMC에 "정치인에 편승하는 게 아니라 제자들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고 직격했다(ⓒ청년의사).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이 여야의정협의체 참여를 결정한 대한의학회와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에 재고해 달라고 했다. “정치인에 편승하는 게 아니라 제자들의 마음을 헤아려야 한다”고 직격하기도 했다.

박 위원장은 23일 페이스북에 의학회와 KAMC 참여로 여야의정협의체가 조만간 출범할 거라는 기사를 공유하며 이같이 말했다. 내년에도 사태는 쉽게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고도 했다.

박 위원장은 국민의힘 한동훈 대표에게 유감을 표하며 “국민의힘 지도부의 상황 파악에 문제가 있다”며 한지아 수석대변인의 “왜곡된 발언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여야의정협의체를 통해 무엇을 하겠다는지 의문"이라며 "대화를 나눈 것만으로도 성과라고 할 것인가"라고도 했다.

의학회 이진우 회장과 KAMC 이종태 이사장에게는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결정이 정말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지, 제자들과 멀어지는 길이 아닐지 다시 한번 숙고해 달라”며 “정치인에 편승하지 말고 제자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게 우선”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대표성을 주장할 생각은 없다. 나의 지위와 역할이 무엇일지 판단과 결정은 각자 알아서 할 일"이라면서 "위원장으로서 사직 전공의의 권익 보호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내년이 온들 쉬이 해결되지 않을 것”이라며 “이번 사태는 젊은 의사들에게도 큰 상처로 남을 것이다. 우리 모두가 안녕하길 바란다”고 글을 마무리했다.

사직 전공의 출신인 대한의사협회 임진수 기획이사는 박 위원장 글에 댓글을 달고 "누가 결과를 얻냐보다는 의료계를 원하는 결과를 얻어오냐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그런 점에서 대화에 나서지 않는 것이 늘 아쉬운 부분이었다. 의료계에서는 내부에서 원치않는 결과를 받아오고자 야합하려는 사람은 없을 것"이라고 했다.

다음은 박 위원장이 올린 글 전문.

대한전공의협의회 박 단 입니다.

부산에 왔습니다. 오늘 밤 부산, 울산, 경남 지역 전공의 대표들과 학생 회장들을 만납니다. 올해만 벌써 네 번째 지역 순회입니다. 빅5 병원 전공의 대표 모두 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는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광역시 중심으로 지역을 돌며 각 병원 전공의 대표들을 만날 뿐 아니라 때로는 학생 대표, 시도의사회장까지 한자리에 모이기도 합니다. 금번은 지난 10월 11일 인천을 시작으로 경기, 대전, 부산에 들렀으며 추후 대구, 광주, 춘천, 제주, 서울에서도 모임을 계획하고 있습니다. 지난 10월 13일에는 대한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회와도 연석 회의를 가진 바 있습니다.

국민의힘 한동훈 당 대표에게는 다시 한번 유감의 말씀을 전합니다. 국민의힘 지도부는 사태 파악과 상황 판단에 꽤나 문제가 있습니다. 왜곡된 발언을 서슴지 않는 한지아 수석 대변인에 기인한 것으로 보입니다. 한동훈 당 대표 역시 인적 쇄신이 필요하지 않을는지요. 그리하여 여야의정 협의체를 통해 무엇을 하겠다는 것인지 의문입니다. 지난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당 대표의 면담처럼 허망하지는 않아야 할 텐데요. 한동훈 당 대표 역시 격의 없이 대화를 나눈 것만으로도 성과라고 외칠 건가요.

대표성을 부러 주장할 생각은 없습니다. 저의 지위와 역할이 무엇일지 그 판단과 결정은 각자 알아서 할 일입니다. 다만 대한전공의협의회는 여전히 존재하며, 저 역시 위원장으로서 사직한 전공의들의 권익 보호를 위해 마저 최선을 다하려 합니다. 한동훈 당 대표는 의사 결정에 더욱 신중을 기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여당 대표로서 엄중하게 임해주시길 당부드립니다.

대한의학회 이진우 회장과 한국 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 협회 이종태 회장이 여야의정 협의체 참여하겠다고 하셨다지요. 교수님들께도 한 말씀 드립니다. 교수님들의 결정이 정말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지, 혹여 제자들과 멀어지는 길은 아닐지 다시 한번 숙고하시길 바랍니다. 정치인들에 편승할 것이 아니라 제자들의 마음을 헤아리는 것이 우선이 아닐지요.

다들 근근이 지내고 있습니다. 내년이 온들 쉬이 해결되지 않을 겁니다. 그리고 이번 사태는 젊은 의사들에게도 큰 상처로 남을 겁니다. 험난한 시기, 각자의 자리에서 서로를 다독이며 때론 열심히 일하고 때론 충분히 쉬면서 내내 우리 모두가 안녕하길 바랍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