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급·제적 공식화에도 의대협 등 강경 기조 이어갈 듯
"이제와서 굴복 못해…정권 바뀔 때까지 버티자" 주장도

교육부의 유급·제적 발표에도 의대생들은 강경한 태도를 이어갔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교육부의 유급·제적 발표에도 의대생들은 강경한 태도를 이어갔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교육부가 지난 9일 대규모 유급·제적을 공식화했지만 의대생들은 물러설 수 없다는 반응이다. 유급과 제적을 피해 돌아가도 "어차피 제대로 수업 못 받는 것은 똑같다"고 보기 때문이다. 의대생 사이에서는 대선 후 차기 정부 집권까지 내다보며 움직이자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는 정부 발표에 앞서 이날 오전 교육부 오석환 차관 등이 대학에 수업 미복귀자 제적을 강요했다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에 고발했다.

기자회견에서 이선우 비상대책위원장은 "(교육부 발표 후) 의대생 회원 목소리를 수렴하고 행동 방향을 결정하겠다"면서도 "차의과대학 의학전문대학원이나 을지의대처럼 의대생 일부만 피해를 보게 둘 수 없다며 (전체) 제적을 결의하는(각오하겠다는) 목소리들이 나오고 있다"고 강조했다.

수도권 의대를 휴학했던 의대생 A씨도 교육부 발표 직후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오히려 우리가 갈 길이 또렷해졌다고 본다"며 "사실 학사 불이익만은 피하자는 의견이 없지 않았다. 하지만 정부와 대학 태도를 본 뒤로 다시 '굴복하면 안 된다'는 목소리에 힘이 실리는 느낌"이라고 했다.

경상권 의대 재학생인 B씨도 "거칠게 말해서 '이제 이판사판'이라는 말도 나온다"고 했다. 충청권 의대를 다니는 C씨는 "우리를 다 유급시키면 그 다음 대책은 있는 거냐"면서 "돌아왔어도 제대로 공부하기 어려운 것은 똑같다. 유급을 안 당해도 (교육 환경 때문에) 사실상 유급이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의대생 피해가 불어난 책임이 대학과 교수들에게 있다는 비판도 나왔다. 또 다른 경상권 의대 재학생 D씨는 "(학장단) 면담에서 (수업 복귀를) 설득하면서 대놓고 정부 사업 지원금 이야기를 꺼내는 것을 보고 오히려 내가 민망하고 참담했다"며 "앞으로 수십 년 학교 교육이 망가질 텐데 당장 지원금 끊기는 게 무서워서 정부 편을 들 수 있느냐"고 했다. 의대 학장 단체인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가 이날 '학업에 복귀한 의대생 교육에 전념하겠다'고 했다는 보도를 접하고 "말 안 듣는 애(학생)는 버리겠다는 소리(B씨)"라는 반응을 보이기도 했다.

의대생들은 정권 교체를 돌파구로 여겼다. 차기 정부가 윤석열 정권 실패를 수습하는 과정에 "'의대생 복권'도 이뤄질 것(A씨)"이란 기대다. 교육부는 '번복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전라권 의대 재학생 E씨는 "유급·제적은 이번 학기가 끝나야 확정된다"는 점을 짚었다. 그러니 "우리가 하나로 뭉쳐서 버텨내면 '이길 수 있다'(C씨)"고 보는 것이다.

이들은 "우리가 교실 의자에 앉아 있기만 하면 된다는 식으로 말하지 말아 달라(E씨)"고 했다. 의대생 복귀가 아니라 "훌륭한 의대 교육의 회복(B씨)"이 목표여야 한다고 했다.

의대협은 이날 정부과천청사에서 발표한 입장문에서 "수업을 듣고자 대학으로 돌아간 의대생들도 수업을 제대로 듣지 못하는 상황이다. 교육 현장은 지금 전혀 준비되지 않았다. 방치돼 있다"면서 "의대생이야말로 그 누구보다도 의대생이 하루빨리 대학으로 돌아가 수학하길 바라고 있다. 우리는 의료와 의학 교육 정상화를 원한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