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의대 증원 감당 못한다고 인정할 꼴”

의대 교수들은 교육부가 개별 대학 학사운영에 대한 간섭을 중지하고 의학교육 질 하락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청년의사).
의대 교수들은 교육부가 개별 대학 학사운영에 대한 간섭을 중지하고 의학교육 질 하락을 막기 위한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했다(ⓒ청년의사).

교육부가 의대 '트리플링(tripling)' 대책으로 내놓은 임상실습·수련교육 기관 확대 방안에 의대 교수들은 교육 질을 고려하지 않은 "땜질식 처방"이라고 비판했다.

전국의과대학교수협의회(의대교수협)는 14일 성명서를 통해 “의대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을 교육·수련병원에서 감당하지 못해 등 떠밀 듯 지방의료원, 2차 병원들이 주먹구구식으로 분담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교육부는 24·25·26학번이 동시 수업받는 트리플링이 발생하면 임상실습 병원이 부족하다는 우려에 지방의료원과 2차 병원 등으로 교육병원을 확대하겠다고 했다.

의대교수협은 “교육의 질을 유지하기 위한 고민과 준비도 없이 땜질식 처방으로 교육해서는 안 된다”며 “미국·일본 등에서는 의대나 수련병원 교육 여건이 뒷받침되지 않아 의대 정원을 줄이거나 신입생 모집을 중단하기도 했다. 교육의 질이 관건이라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이는 대규모 (의대 정원) 증원 시 병원들이 정상적인 임상실습과 전공의 수련을 감당할 수 없다는 것을 정부가 인정한 꼴”이라며 “의대생 휴학 등이 없었다 해도 과도하게 증원된 대학들은 제대로 교육할 여건이 안 된다”고 했다.

이어 교육부가 개별 대학 학사운영에 간섭하지 말아야 한다고 했다. 교육부와 보건복지부를 향해 의대 정원 증원 정책에 대한 오류를 인정하고 근본적인 해결책을 마련하라고도 했다.

의대교수협은 “대학생 유급·제적은 대학 학칙에 따라 자율적으로 판단하는 사안이다. 학사운영에 대한 겁박과 지나친 간섭은 사태 악화를 초래한다”며 “교육부는 무리한 강요와 압박을 통한 대학 학사운영 간섭을 즉시 중지하고 학습권 보호를 위해 힘쓰길 바란다”고 했다.

이들은 “처음부터 잘못 채워진 단추를 그냥 놓아둔 채 미봉책만 나열해서는 근본적인 해결이 불가능하다”며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합리적, 비민주적 정책을 추종했던 교육부와 복지부는 솔직하게 오류를 인정하고 근본적인 수습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