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학회 등 관련 학회, 인력과 시설 투입·법적 제도 보완 필요 강조

이대목동병원의 신생아 사망 사건을 의료진 개인의 과실로 책임을 지우면 악순환의 고리를 끊을 수 없다는 지적이 나왔다.

신생아 중환자의 감염관리를 포함해 인력과 시설에 대한 과감한 자원 투입과 법적, 제도적 보완을 통해 제2의 이대목동병원 사태를 예방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대한소아과학회와 대한소아감염학회, 대한신생아학회, 대한주산의학회는 지난 16일 이같은 내용의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어린이와 청소년의 건강을 책임지고 있는 소아청소년의학 전문가들은 이번 슬픔에 공감하고 국민과 함께 아파하고 있다”면서 “이번 사태에 대해 연대적 책임감을 통감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여러명의 소중한 목숨들이 희생된 이번 사건은 사안의 중대성에 비추어 민사 형사상의 법적 절차가 뒤따를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다만 이번 사건을 담당 의료진의 책임으로만 해결하려 한다면 의료환경의 근본적인 개선은 이뤄지지 않고 오히려 소명의식을 가지고 신생아 환자를 돌봐온 의료진을 잠재적 범죄자로 내몰고 국민듸 신뢰만 떨어뜨리는 상황을 만들 수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전문인력이 부족한 현 상황에서 기존 인력의 이탈과 새로운 인력 확보가 어려워지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되면, 결국 우리 사회는 숙련된 전문가들을 잃고 퇴보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중환자실의 감염관리 어려움과 개선 필요성을 강조하며 법적·제도적 시스템을 보완하는 계기가 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병원 특히 중환자실은 어느 곳보다 감염에 취약하고 최선의 노력을 해도 산발적으로 병원감염이 발생할 수 있다”면서 “병원감염률 0%는 의료진의 목표이자 소망이지만 어떤 선진국가의 시스템도 의료관련 감염을 완전히 막지 못하고 있으며, 우리 또한 개선의 여지가 많은 상태”라고 설명했다.

이어 “신생아를 담당해온 의료진들은 보건당국과 전국의 신생아중환자실 부족 해소에 많은 노력을 해왔고 일정한 성과도 있었다”면서 “이제는 감염 및 안전 관리의 충실 등 진료의 질 향상에 집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이들은 “신생아의료뿐만 아니라 외상센터, 응급의료, 주산기센터 등 사회안전망에 해당하는 공공의료체계에서 고품질 의료서비스를 제공하려면 의료기관의 과감한 인적, 물적 투자가 필요하다는 사회적 공감대와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