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복귀 의료인 '처단' 포고령에 분노하는 의료계
회장 후보자들, 정부 비판하며 전공의 보호 강조

제43대 대한의사협회장 선거 후보자들이 일제히 대통령 비상계엄에 비판 목소리를 냈다(ⓒ청년의사).
제43대 대한의사협회장 선거 후보자들이 일제히 대통령 비상계엄에 비판 목소리를 냈다(ⓒ청년의사).

비상계엄은 해제됐지만 의료계 분노는 계속되고 있다. 전공의를 비롯해 미복귀 의료인을 '처단'하겠다는 계엄사령부 포고령은 정부 의료 정책을 반대하면 '반국가세력'이라 규정한 거나 마찬가지라고 했다. 제43대 대한의사협회장 선거에 출마한 후보자들 역시 이 점을 지적하며 일제히 반발했다.

기호 1번 김택우 후보(전국광역시도의사회장협의회장)는 계엄이 해제된 4일 입장문을 내고 "전공의 사직 사태를 유발한 정부가 정작 전공의를 헌법을 위협하는 척결 대상으로 선정하고 처단한다고 적시한 것은 전공의를 적대시해 정권 잘못을 호도하려는 얄팍한 수작질"이라면서 "아직도 2025학년도 의대 정원은 논의 대상이 아니라는 정부가 그 책임을 전공의에게 전가하는 후안무치를 지속해 놀라움을 금할 수 없다"고 했다.

김 후보는 "회장 후보자로서 지난 계엄 선포와 해제 상황을 심각하게 받아들인다. 정부는 지금이라도 의료 농단을 중단하고 진지하게 의료 정상화에 협력하라"며 "더 큰 불행으로부터 국민을 지켜야 할 정부 책임을 망각하지 않길 당부한다"고 했다.

기호 2번 강희경 후보(전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장)는 본인 SNS에 "2024년 자유민주주의 국가 대한민국에서 이런 상황이 벌어진다니 믿어지지 않는다. 국민을 '처단한다'니 처단당해야 할 것은 이런 말을 하는 자"라고 했다.

이어 "의사는 소위 '의료개혁'이라는 미명 하에 (계엄 선포 같은) 일을 10개월째 당하고 있다. 근거도 국민적 합의도 없이 강행하는 의료개혁은 지금 당장 멈추고 정상적인 판단이 가능한 상황에서 새출발해야 한다"며 "국민 건강과 어린 학생들, 미래 의료 주역인 젊은 의사가 더 이상 다치면 안 된다"고 적었다.

기호 3번 주수호 후보(미래의료포럼 대표)도 이날 발표한 입장문에서 "의사를 처단 대상으로 규정한 정부를 강력히 규탄한다"면서 "대통령을 비롯한 책임자는 사퇴 또는 탄핵 절차를 밟아 응분의 대가를 치러야 한다"고 했다.

해당 포고령은 "평소 전공의를 억압하려 했던 정권의 의도를 계엄을 통해 명백히 드러냈다. 정상적인 정부라면 상상할 수도 없는 폭압적인 표현이다. 현 정부의 의료와 의사에 대한 인식이 얼마나 왜곡됐는지 알 수 있다"고 했다.

기호 4번 이동욱 후보(경기도의사회장)는 이날 경기도의사회 회원들에게 보내는 메시지에서 "전날 대통령의 대국민 쿠데타이자 비상계엄은 시대착오적이고 반민주적인 발상이라고 했다. (계엄사령부의 포고령은) 대한민국을 북한으로 만드는 집회 금지와 정치 금지, 전공의 처단이라는 엉터리 명령이다. 여기에 계엄군의 국회 진입 사건은 대한민국의 부끄러움"이라고 비판했다.

이 후보는 "오늘(4일) 오후 대통령 퇴근길 의료정상화 촉구 행진을 진행한다. 의대생과 전공의, 의사, 국민은 모두 모여 '의료 농단 폭주 기관차 중단'과 '의학 교육 정상화'를 크게 외쳐 달라"며 "대통령은 민심을 보고 시대착오적 대국민 탄압을 멈추라"고 했다.

기호 5번 최안나 후보(의협 기획이사 겸 대변인)는 본인 SNS에서 "지난 2월부터 정부가 '공익'을 앞세워 젊은 의사의 직업 선택 자유를 억압하고 사직할 권리를 무시하고 브리핑이라는 이름으로 협박과 조롱을 쏟아냈을 때부터 이미 불법적 계엄령 선포는 예고된 것"이라고 했다.

최 후보는 "대통령의 '우격다짐'에 따르지 않는다는 이유로 국민 건강을 지키기 위해 헌신적으로 일하던 젊은이들을 국가 전복을 꾀하는 내란 세력으로 간주했다"면서 "국민도 이제 의사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젊은 의사들의 손을 잡아달라"고 호소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