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부, 5일 유튜브채널에 '의료개혁' 홍보 영상 업로드
"앞에선 환경 개선, 뒤에선 '반국가세력' 점 찍어" 비판

보건복지부는 5일 유튜브 채널 '보건복지부TV'에 '함께 실현되는 의료개혁'이라는 영상을 올렸다(사진출처: 보건복지부TV 화면 갈무리).
보건복지부는 5일 유튜브 채널 '보건복지부TV'에 '함께 실현되는 의료개혁'이라는 영상을 올렸다(사진출처: 보건복지부TV 화면 갈무리).

'전공의 미복귀 시 처단'을 명시한 비상계엄 포고령으로 의료계가 들끓는 와중에 정부가 전공의 수련 관련 의료개혁 홍보 영상이 올려 논란을 자초하는 모습이다. 해당 영상에는 정부의 표리부동함을 성토하는 댓글이 이어졌다.

보건복지부는 지난 5일 유튜브 채널(보건복지부TV)에 '함께 실현되는 의료개혁'이란 제목의 영상을 올렸다. 해당 영상은 정부가 앞서 공개한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 중 전공의 수련 개선 방안을 담았다. 영상은 6일 오전 6시 기준 조회수 7만2,263회를 기록했다.

영상에서는 전공의 연속근무시간 24시간 단축, 담당 지도전문의와 집중수련시간 지정, 중증부터 경증까지 임상경험 확대, 과목별 수당 지급 등 정부의 수련 개선 방안들이 소개됐다. "생명을 살린다는 나의 초심과 사회적 신뢰가 함께 실현되는 의료개혁"이라는 문구도 나왔다.

그러나 영상 댓글은 정부 성토와 비판이 주를 이루고 있다.

A씨는 댓글을 통해 "자기들(정부)이 시키는 대로 안 하고 사직하면 처단하는데 무슨 워라밸인가. 세상에 사직하면 처단 대상이 되는 직업이 (어디) 있나"라고 했다. B씨도 "'전공의 처단'이라고 해놓고 뻔뻔하게 이런 광고를 올리는 건가"라고 했다.

C씨는 "앞으로는 세금을 들여 (수련) 환경을 개선하겠다고 운운하면서 뒤로는 반국가세력으로 점 찍고 처단 계획 세우던 게 만천하에 드러났는데 이런 영상을 올리는 건가"라며 "전공의 모집 기간이라 노력했다고 위에 보고하기 위함인가"라고 비꼬았다.

복지부가 '전공의 처단' 문구를 넣는 데 관여했는지 묻는 댓글도 달렸다. D씨는 "(전공의를) 처단한다는 문구는 누가 넣었고, 책임은 누가 지는건가"라고 묻기도 했다.

정부의 전공의 수련 개선 방안을 비판하는 댓글도 달렸다.

E씨는 "(전공의 연속근무 단축) 시범사업 후 몇 년 있다가 다시 36시간 연속근무로 돌아올 것"이라면서 "경증까지 임상경험을 쌓게 한다는 건 곧 로컬 수련을 의미하며, 텅 빈 보건지소에 전공의를 배치하겠다는 뜻"이라고 말했다. 지도전문의 지정 방안에도 "지도전문의를 확보하지도 못했으면서 말만 앞세우고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