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학회 “5년 뒤 뇌졸중 환자 진료할 의사 절대 부족”
간호간병통합 병실료보다 낮은 뇌종줄집중치료실 입원료

대한뇌졸중학회는 19일 웨스틴조선호텔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중증 환자 응급의료체계  문제 등을 지적했다. 왼쪽부터 뇌졸중학회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 이경복 정책이사, 배희준 이사장, 차재관 질향상위원장.
대한뇌졸중학회는 19일 웨스틴조선호텔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중증 환자 응급의료체계 문제 등을 지적했다. 왼쪽부터 뇌졸중학회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 이경복 정책이사, 배희준 이사장, 차재관 질향상위원장.

뇌졸중 환자를 치료할 전문의가 줄고 있다. 매년 세부 전공으로 뇌졸중 분야를 선택하는 신경과 전문의가 손에 꼽을 정도로 적다.

대한뇌졸중학회에 따르면 올해 신경과 전문의 자격을 취득한 의사 83명 중 뇌졸중 분야 전임의로 지원한 의사는 5명뿐이다.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곳 중 전임의가 있는 센터는 1곳뿐이기도 하다.

뇌졸중학회는 19일 웨스틴조선호텔 서울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전문 인력 부족으로 뇌졸중 진료체계가 붕괴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차재관 질향상위원장(동아대병원 신경과)은 “전공의 없이 교수가 당직을 서는 대학병원이나 수련병원이 늘고 있다”며 “지금 추세라면 5~10년 뒤에는 연간 10만명씩 발생하는 뇌졸중 환자를 진료할 전문의 수가 절대적으로 부족해 질 것”이라고 했다.

신경과 전문의들이 뇌졸중 분야를 기피하는 원인으로는 위험 부담이 큰 만큼 수익이 따라주지 않는 구조가 꼽혔다.

이경복 정책이사(순천향대서울병원 신경과)는 “종합병원 뇌졸중 집중치료실 입원료는 13만3,320원으로 6인실 기준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실료 17만1,360원보다 낮다”며 “응급의료센터에는 전문의 진찰료, 관찰료 등이 수가로 산정되는데 신경과 전문의가 뇌졸중 의심 환자를 진료하면 진찰료도 발생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 정책이사는 “24시간 뇌졸중 집중 치료실에서 뇌졸중 환자를 진료해도 근무 수가가 2만7,730원 밖에 되지 않아 병원 입장에서 뇌졸중 센터를 무리하면서까지 운영해야 할 이유가 없는 상황”이라고도 했다.

이 정책이사는 뇌졸중 집중치료실 수가를 간호간병통합서비스 병실료보다 1.5배 이상 상향 조정하고 뇌졸중 관련 수가도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희준 이사장(분당서울대병원 신경과)은 “현재 시술이나 수술을 하지 않는 뇌졸중의 경우 일반진료질병군으로 분류돼 전문진료질병군 환자를 30% 이상 유지해야 하는 상급종합병원에서는 뇌졸중 환자 진료를 거부하는 사태도 발생할 수 있다”며 “성인 장애 주요 원인인 뇌졸중은 전문진료질병군으로 분류해야 한다”고 말했다.

“119와 신경과 연계하는 중앙심뇌혈관센터 필요”

뇌졸중 환자가 골든타임 내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받으려면 119구급대와 신경과를 연계하는 관제센터인 ‘중앙심뇌혈관센터’가 필요하다고도 지적했다.

배 이사장은 “한정된 의료 자원을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경증 환자와 중증 환자 진료를 분리해서 중증응급의료센터는 필수 중증 환자의 최종 치료에 집중할 수 있도록 체계가 정립돼야 한다”며 “그러기 위해서는 응급신경학 전문의 기반의 1차 진단과 원스톱(One-stop) 진단 치료가 가능해야 하고,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가 환자의 진단, 이송, 치료관리를 컨트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 이사장은 “모든 병원에서 24시간 치료가 어렵기 때문에 현재 84개뿐인 뇌졸중센터와 권역센터를 확충하고 최종진료 기능을 강화해야 한다”며 “전체 뇌졸중 안전망을 관리하고 유지할 수 있는 관제센터인 중앙심뇌혈관센터 지정과 운영은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김태정 홍보이사(서울대병원 신경과)는 “응급의료체계가 전문진료과와 연계되지 않아 치료받지 못하는 사태가 반복되면서 119에서 치료받을 병원을 찾지 못해 사망하는 환자가 반복적으로 발생하고 있다”며 “119가 전문 진료과와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체계와 치료 전체 과정을 관리하는 관제센터가 필요하다”고 했다.

김성헌 병원전단계위원장(강원대병원 신경과)은 “권역응급의료센터를 포함해 여러 응급의료센터가 병실과 의료진 부족 문제로 24시간 치료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추기 힘든 상황”이라며 “경증 환자로 넘치는 응급의료센터에서 중증 환자 진료가 사실상 불가능한데도 정부가 내놓은 대책은 근본적인 해결책에 접근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