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4차 생명잇기 국회정책 토론회’서 ‘국민교육’ 필요성 강조
복지부 이영우 사무관 “장기·조직기증 활성화 위해 다각적으로 점검”

장기·조직기증 활성화를 위해서는 생명 나눔에 대한 국민 인식 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우리나라 장기기증자 수는 지난 2000년 52명으로 시작해 2010년 268명으로 급증한 이후 2016년 573명까지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지난 2017년 515명으로 감소한 데 이어 2018년 449명으로 급격히 하락했다.

더욱이 장기기증을 희망한 사람 중 기증이 적합하지만 최종적으로 가족의 거절에 따라 기증으로 이어지지 못하는 상황이 늘고 있다. 이에 이식대기 중 사망하는 국내 환자가 지난해 3만544명에 달했다. 이는 하루 5.2명에 이르는 수치다.

지난 3일 국회에서 ‘Opt-out(옵트아웃) 제도 가능한가’를 주제로 ‘제4차 생명잇기 국회정책 토론회’가 열렸지만 현 시점에서 제도 도입보다는 장기·조직기증등록 활성화를 위해서는 생명 나눔에 대한 국민 인식개선이 우선돼야 한다는 의견들이 쏟아졌다.

토론에 참석한 대한장기이식코디네이터협회 김형숙 회장은 “우리나라는 신체 훼손에 대한 두려움이 있어 충분히 그 마음을 읽어줘야 하는데 읽지 못했을 때 가족들의 거부로 이어진다”고 말했다.

김 회장은 “젊은 사람들에 대한 교육도 중요하다. 유치원 아이들부터 할 수 있는데 자라나는 새싹에게 죽는 얘기를 먼저 하느냐고 한다”면서 “어떤 방식으로 나눔 문화를 설명할 수 있는지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교육은 시간이 걸리지만 궁극적으로 가야 하는 방향이기 때문에 교육 통한 인식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국장기조직기증원 이정림 본부장도 “장기기증에 대한 국민의 인식이 좋지 않다. 장기기증을 검색하면 매매가 따라 붙는다”며 “의료인부터 장기기증에 대해 끔찍하게 생각하고 보호자에게 말하기 어렵다고 하니 현장에서는 일하기 더욱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 본부장은 “장기기증은 생명 나눔이다. 좋은 일이라는 인식이 필요하다”며 “대국민 홍보를 효과적으로 해야 하고 공익광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장기·조직기증 희망자들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전산시스템이 구축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장기이식코디네이터협회 김 회장은 “전상 상 (장기·조직기증 희망자)에 대한 정보를 빨리 확인할 수 있도록 시스템이 마련돼야 한다”며 “연명의료를 결정한 환자의 경우 전자의무기록(EMR) 상황에서 연명의료 중단 신청을 했다는 사실을 바로 확인할 수 있다. 장기·조직기증 희망자도 등록하고 확인할 수 있도록 제도화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정림 본부장도 “연명의료 중단 전 장기기증에 대한 정보를 먼저 알릴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며 ”연명의료 중단 결정과 장기기증 희망 동의를 같이 받아 의료기관에서 확인하는 시스템이 필요하다. 동의된 환자는 기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정부도 과거에 비해 장기·조직기증 희망자가 급속히 줄고 있는 원인 파악을 통해 활성화 방안을 마련해 나가겠다는 의지를 보였다.

보건복지부 생명윤리정책과 이영우 사무관은 “장기기증 희망자들이 실제 기증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제도 개선 마련하도록 하겠다”며 “무엇보다 과거에 비해 떨어지고 있는 희망 등록의 원인에 대해 심도 있게 다각적으로 점검해 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 사무관은 “인체조직 기증 활성화 위해서는 종합적인 제도개선 방안 마련해 봐야 할 필요가 있다”면서 “아쉬운 점은 정부 부처의 정책 결정 과정에서 사건 사고 위주로 우선순위가 정해져 장기·조직기증 부분은 주목을 받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꾸준히 각계 전문가분들과 협의해서 방안을 만들어 나가겠다”고 했다.

질병관리본부 장기이식관리센터 박옥 센터장은 “장기이식관리센터에 오기까지 의료인임에도 신체 훼손에 대해 장기이식에 대해 부정적인 마음이 있었다”며 “장기이식관리센터장이 되고 나니 지속적으로 토론회, 세미나에 참석하면서 스스로 교육이 돼 필요성도 느끼게 됐고 등록도 하게 됐다”고 말했다.

박 센터장은 “의료인도 이런데 일반인은 더 심할 거라고 생각한다”며 “국민인식을 전환하는 게 정말 중요하다. 국민인식 변화를 위해서는 장시간 걸릴 거라고 생각한다. 국가에서 중장기 계획을 탄탄히 만들어 이행하는 과정이 필요할 것 같고 이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