뮌헨 안보회의서 정부대응 강화 필요성 강조

글로벌 안보회의에서 대량살상이 가능한 바이오테러(bioterror,생물테러)의 위험성이 언급되면서 국내 관련 대응체계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다.

외신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 창업자인 빌게이츠는 지난 18일(현지시각) 독일 뮌헨에서 열린 제53회 뮌헨 안보 컨퍼런스에서 바이오테러에 대한 정부 대응을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바이오테러는 핵폭탄보다 심각한 재난을 초래할 수 있는 만큼 관련 투자와 훈련 등 대비책을 강화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는 ‘생물테러’를 ‘테러리즘의 일부로 잠재적으로 사회 붕괴를 의도하고 바이러스나 세균, 곰팡이, 독소 등을 사용해 살상하거나, 사람이나 동물 혹은 식물에 질병을 일으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행위’로 정의하고 있다.

질병관리본부는 생물테러감염병(고의로 또는 테러 등을 목적으로 이용된 병원체에 의해 발생된 감염병)으로 ▲탄저(Anthrax) ▲페스트(Plague) ▲두창(Smallpax) ▲보툴리눔 독소증(Botulism) ▲에볼라바이러스(Ebala Virus Disease) ▲마버그바이러스(Marburg Virus Disease) ▲라싸열(Lassa Fever) ▲야토병(Tularemea)을 규정, 전파양상과 초기치료·예방적 투여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국내 응급실 기반의 생물테러감염 증후군 감시를 위해 지정된 의료기관은 130개(2015년 12월 기준)로 이들 병원은 환자 발생시 관할 보건소를 통해 시·도청으로 상황을 보고하게 된다. 시·도청 담당자는 지자체 발생현황을 질본에 보고하는 체계다.

질병관리본부 감염병관리센터 생물테러대응과(양은주·조신행) 보고서(생물테러감염병 응급실증후군 감시체계 운영현황 및 강화, 2015년 12월)에 따르면, 미국의 경우엔 국방부 자료를 비롯해 생물테러 감염병 증후군 감시를 위해 직장결근자나 학교결석자, 질병과 관련된 911 호출자 정보, 일반의약품 판매정보 등에 대한 데이터 소스를 활용하고 있다.

이에 질본은 지난해부터 국방부와 맺은 생물테러 협약을 토대로 생물테러 관련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

최근 생물무기(사람, 동물, 식물에 질병을 유발시키기 위해 군사작전 또는 생물테러에 사용하는미생물과 독소)를 이용한 범죄나 생물테러가 급증하고 있다는 게 보건당국의 분석이다.

질본은 '생물테러에 관한 자주하는 질문(2016년 12월)'을 통해 "1969~1999년 사이 총 66건의 생물무기를 이용한 범죄와 55건의 생물테러가 발생했고 더 심각한 사실은 최근 그 규모가 급증하고 있다는 것"이라고 했다.

이어 질본은 우편물 생물테러에 대한 질문에 "병원성 가루를 넣은 우편물을 이용한 생물테러는 발생가능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위협적인 문구가 적혀있거나 기름 얼륵이 묻어있는 봉투, 한쪽으로 기울었거나 딱딱하거나 부피가 크거나 변색됐거나 이상한 냄새가 나는 우편물, 안에 가루가 들어있는 것 같은 우편물, 외국으로부터 온 예기치 못한 우편물, 우표가 없거나 소인이 없는 경우, 이름이나 장소 또는 직함을 잘못 쓴 경우, '본인개봉요망' 또는 주소만 적혀 있고 알 수 없는 곳에서 온 손으로 쓴 우편물 등이 생물테러 의심 우편물의 특징"이라고 조언했다.

한편 국내 바이오업계의 생물테러감염병 관련 치료제 연구는 크리스탈지노믹스의 항생제 CG400549(탄저균 치료), 영인프런티어의 질본 연구용역(보툴리눔 독소증 치료) 등이 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