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진표 중앙자살예방센터장 "상처로부터 치유받고 극복할 수 있는 교육 진행해야"교육부 "정신건강분야 예산확보 노력할 터"…자살시도 학생 관리 관심 높여

[청년의사 신문 김은영] 국내 청소년 사망원인 1위로 꼽히는 '자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학교를 중심으로 한 자살예방 정책이 실행돼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학교에서 보내는 시간이 대부분인 학생들을 중심으로 교사, 학부모까지 체계적으로 연계된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지난달 31일 교육부와 한림대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가 세종문화회관 세종홀에서 개최한 '2015 학생자살 예방 정책 세미나'에서는 학생자살 예방을 위한 다양한 의견이 쏟아져 나왔다.

한림대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가 학생 자살사안보고서를 기반으로 학생자살 실태를 분석한 결과 초등학생부터 중.고등학생까지 집계된 자살학생은 지난 2014년 96명에서 2015년(7월까지) 54명으로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자살은 학생 사망 1위로 꼽히고 있다.

하지만 학생자살은 충동적으로 선택하는 경향이 높아 예방하기 어렵고 첫 번째 자살 기도자체를 막지 않는다면 청소년 자살을 막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에 학생들이 평소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관리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더불어 교사나 가족이 학생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학교 중심 자살예방 프로그램이 필요하다는 것.

중앙자살예방센터 홍진표 센터장(삼성서울병원 정신건강의학과)은 "자살하는 학생 중 정신질환이 진단되는 비율도 20% 정도로 낮은 편에 속한다"며 "첫 번째 자살기도를 막지 않으면 청소년 자살을 막기 어렵다는 것으로 나온다. 이런 상황이라면 전반적으로 학생 정신건강을 향상시키는 교육을 시행해 스트레스 관리 능력을 키우고 가족이나 교사가 학생을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학교 중심으로 예방해야 한다"고 말했다.

홍 센터장은 "상처로부터 치유 받고 극복할 수 있는 교육이나 기회를 학교에서 할 수 있다면 이상적이라고 생각한다"면서 "심리적인 현상을 이해하고 대처할 수 있는 것들을 교육 속에 편입 시켜야 한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스트레스를 잘 이겨내고 정신적으로 건강해질 수 있는 교육 과정이 포함되는 자살 예방사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또 학생자살을 경험한 교사들에 대한 심리지원은 물론 학부모 개입이 이뤄질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한림대 자살과 학생정신건강연구소 이미정 연구원은 "교사의 정신건강 지원정책도 필요하다. 실제 자살 발생 시 교사에 대한 지원은 없다"며 "교사가 나약해지게 되면 제2, 제3의 자살을 막을 수 있는 힘이 부족해진다. 교사의 심리지원은 물론 조기에 아이들의 문제를 파악해 낼 수 있는 심리개입 기술 강화 전략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 연구원은 "학생 정신건강증진을 위한 협조가 필요한데 문제가 발생한 학생의 부모에게 상담을 요청하면 대부분 오지 않는다"며 "학교에서 학부모 개입을 강제할 수 있는 방법이 없다는 게 문제다. 학생자살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는 학부모의 개입이 이뤄질 수 있도록 강제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고 했다.

특히 학생 자살 예방정책 수행에 필요한 인력과 예산 지원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되자 교육부는 효율족인 정책 실행을 위한 예산확보에 노력하겠다는 답변을 내놨다.

홍 센터장은 "중앙자살세센터가 문을 연지 3년이 넘었다. 직원 25명 정도 되는데 예산이 5억 정도 된다. 너무 적은 액수라고 생각한다"며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기보다 아이템을 만들어 지자체 협조로 일 하고 있는데 청소년 자살 문제는 여력이 없어 주로 학생자살을 막는 게이트키퍼 양성을 위한 교사 대상 보듬말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교육부 학생건강정책과 장우삼 과장은 "예산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정신건강분야 그 동안 예산이 많이 늘어났지만 여전히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더 노력해 나가겠다"며 "하반기 최우선과제로 자살시도한 학생들에 대해 (또 다시 자살이 일어나지 않도록) 관리해야겠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