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지대 연구팀, 농업인 73명 대상 설문 조사
41% 의료 접근성 불편 호소…작업치료 가능 병원도 적어
"통합보건의료서비스 시행해 전문적 서비스 확대해야"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 주민들이 충분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받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농업에 종사하는 농촌 주민들이 충분한 건강 관리 서비스를 받고 있지 못하다는 지적이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의료취약지인 농촌 지역 주민 10명 중 4명 이상이 아플 때 가장 어려운 점으로 병원의 접근성을 꼽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에 충분한 예방·의료서비스 제공을 위해 전문인력 확보와 공공의료서비스 확대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상지대 연구팀은 강원도 양양과 태백에서 농작업에 종사하는 73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 조사 결과를 한국노인작업치료학회지 최근호에 발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농촌지역 노인들은 몸에 이상이 있을 때 병원을 찾지만 일회성으로 찾고, 다양한 건강 관리 서비스에 대해 잘 모르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에 농업인의 의료서비스 이용 실태와 작업 치료 서비스에 대한 인식을 조사했다.

연구팀은 지난해 3월 28일부터 10월 30일까지 강원도 양양(42명)과 태백(31명)에서 농작업에 종사하는 7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시행했다. 조사는 총 5개 영역의 25개 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4문항 ▲건강관리 상태 4문항 ▲의료서비스 이용 정도 4문항 ▲의료기관 이용 현황 5문항 ▲작업치료 서비스 인식과 이용경험 8문항으로 구성됐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41.1%가 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데 가장 어려운 점으로 접근성을 꼽았다. 이어 23.3%가 치료비 부담을 꼽았다. 31.5%는 어려움이 없다고 했다.

응답자 중 93.2%는 지난 2년 내 건강 검진을 받는 등 건강 관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중 72.6%는 국민건강보험공단 정기검진으로 건강 검진을 받고 있었다.

농업인들은 건강 유지를 위해 주로 ▲건강 검진 ▲음식 섭취 조절 ▲영양제·보약 ▲수면과 휴식 등의 방법을 택했다. 건강 관련 정보를 얻는 경로는 텔레비전·라디오 등 매체가 64.4%였으며 병원·약국은 19.2%에 불과했다. 주관적인 건강 상태에 대해서는 65.8%가 ‘보통이다’라고 답했다.

응답자의 과반 수 이상(56.2%)은 가장 많이 이용하는 의료기관으로 의원을 꼽았으며 이어 종합병원(19.2%), 보건소(16.5%) 순이었다. 또한 의료기관을 선택하는 기준으로 '거리'를 꼽았다. 전체 응답자의 72.6%가 주로 내원하는 의료기관을 선택한 이유로 '거리가 가깝다'는 점을 들었으며 67.1%는 자택에서 가장 가까운 의료기관으로 의원을 꼽았다.

또한 절반에 가까운 응답자(49.3%)가 제일 가까운 의료기관으로 내원하는 데 평균 11~30분이 걸렸다고 답했으며 35.6%는 자택에서 10분 이내 거리에 의료기관이 있다고 했다. 전체 응답자의 83.6%는 의료기관까지 자가용으로 이동했다.

농업인들은 고강도의 농작업 활동에 참여하면서 외상이나 부상을 입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몸이 아플 때만 일회성으로 병원을 찾으며 일상생활에서 기능 회복을 위한 교육과 치료를 제공하는 작업치료와 같은 건강관리 서비스에 대해 잘 모르는 경우가 태반이었다.

전체 응답자의 71.2%는 가정방문 형식으로 작업치료 서비스가 제공될 경우 이를 받아볼 의향이 있다고 했다. 그러나 작업치료의 개념에 대해 알고 있는 이는 17.8%에 불과했다. 또한 78.1%는 주변에 작업치료를 받을 수 있는 병원이 없다고 답했다. 그 외 필요한 건강 관리 서비스로는 건강 교육(43.8%), 여가 활동 서비스(34.2%), 정서적 서비스(11.0%), 가사 서비스(11.0%)를 꼽았다.

이에 연구팀은 “농업인들은 큰 병원이 근처에 없어서 주로 의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됐다”며 “30분 이내에 도착할 수 있는 병원 혹은 공공의료시설이 확충된다면 의료 선택의 폭이 넓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들은 지속적인 건강 관리를 시행하기 어려웠으며 작업치료와 같이 일상생활, 여가 활동 등의 전반적인 중재를 시행하는 서비스에 대한 인식이 낮았다”며 “이에 인식을 개선하는 제도·정책이 필요하며 보건소 등에서 통합보건의료서비스를 시행해 작업치료사가 전문적인 서비스를 제공하는 지역사회 서비스를 확대할 필요가 있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