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경영난 의대로…회계 독립 운영 불가
“수입 줄고 지출 늘어 어려움 지속될 것” 우려

학령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들이 문을 닫을 거라는 우려는 ‘대학 경영난’으로 현실화 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 대학에 소속된 의과대학들도 함께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사진: 청년의사DB).
학령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들이 문을 닫을 거라는 우려는 ‘대학 경영난’으로 현실화 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 대학에 소속된 의과대학들도 함께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사진: 청년의사DB).

급격한 출생률 저하로 인한 학령인구 감소가 ‘벚꽃 엔딩’을 실감케 하고 있다. 학령인구가 수도권으로 집중되면서 벚꽃 피는 순서대로 대학들이 문을 닫을 거라는 우려는 ‘대학 경영난’으로 현실화 되고 있다.

문제는 이들 대학에 소속된 의과대학들도 함께 흔들릴 수밖에 없다는 것. 대표적인 예가 ‘파행 운영’ 논란을 겪은 고신대다.

고신대의 경영난은 수년 간 등록금 동결에 부진한 신입생 유치 실적이 원인으로 꼽혔다. 2023학년도 고신대 신입생 최종 등록률은 83.06%로 정원을 채우는데 실패했다. 대학본부에서 회계 경영을 총괄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는 결국 고신의대 기초의학교실 교직원의 임금 체불과 의대 운영비 미지급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었다.

이에 고신의대 교수들이 의대 등록금 회계를 본교로부터 분리해 독립 운영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하지만 법적으로 의대만 따로 떼어 회계 운영을 할 수는 없다는 게 고신대 설명이다. 대학 부속병원의 일부 지원을 받기도 하지만 결국 대학들의 경영난이 의대로 옮겨질 수밖에 없다는 지적이다.

지방 의대들은 고신대 파행 운영 논란에 대해 고심의 여지가 있다고 했다. 대학이 살아남지 못한다면 의대 존립도 결국 어려워질 거라는 우려에서다. 이에 인구 감소 등 긴 안목을 갖고 대학 체질개선이 이뤄져야 한다는 의견이다.

호남지역 의대 A교수는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10년 이상 대학 등록금이 동결됐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인건비는 올랐고 사회적인 고정 비용도 큰 폭 상승했다”며 “수입은 한정돼 있고 지출경비는 늘어나니 결과적으로 학생이나 학교에 대한 투자를 줄일 수밖에 없는 것”이라고 말했다.

A교수는 “대학 자체적으로 생산성을 올릴 수 있는 사업이나 기부금, 국책사업에 따른 여러 지원이 지속적으로 늘지 않는다면 학교와 학생을 위한 투자는 어려울 것”이라며 “더욱이 학령인구 자체가 크게 줄어 대학 지원율 자체가 하락하고 있다. 기본적으로 지방 대학이 갖고 있는 어려움은 지속될 것”이라고 했다.

또 다른 B교수는 “대학 경영난을 실질적으로 체감한 의대들은 아직까지 (고신대를 제외하고) 없는 것 같다. 하지만 앞으로 상황을 더 지켜봐야 한다. 궁극적으로 통찰력을 갖고 장기적인 안목으로 사안을 바라봐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이어 “결국 대학 규모를 축소시킬 수밖에 없는데 교직원 반발에 내부 갈등이 클 수밖에 없다. 대학 자체가 살아남지 못하면 의대도 존립이 어려울 거다.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하지만 쉽지 않은 일”이라고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