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연일 5만명…원내 감염 확산에 환자 받지 못받는 병원마저
'가벼운' 오미크론 무게에 병원·학교 무너진다…"유행 통제해야"
이재갑 교수 "방역 완화로 더 확산되면 필수시설 정지" 경고

오미크론 변이 바이러스 확산으로 의료기관 방어선이 흔들리고 있다. 의료진 감염으로 격리자가 속출하면서 일손 부족에 환자를 받지 못하는 병원마저 생기고 있다. 델타 변이보다 낮은 중증화율에만 주목해 오미크론 확산을 통제하지 못하면 의료기관을 넘어 교육기관 등 사회 필수시설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는 경고마저 나오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5일 연속 5만명을 넘어서면서 일선 병원은 환자 증가는 물론 원내 감염 확산까지 이중고를 겪고 있다. 확산 규모가 하루가 다르게 커지면서 병원마다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가천대길병원 감염내과 엄중식 교수는 지난 12일 SNS에 "병원을 방어하는 것이 만만치 않다. 감염관리실이 거의 24시간 운영체계로 돌아가고 있다"고 한 데 이어 지난 14일에는 "방어의 경계를 결정할 수 없는 상황이 닥쳐오고 있다. 원내 확진자가 점점 늘고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고대안암병원 감염내과 김선빈 교수도 지난 11일 서울시 COVID19심리지원단과 ‘나는 의사다’의 코로나19 특별생방송 ‘코안심TV 시즌2, 오미크론 위기대응, 무엇이든 물어보세요’에 출연해 "오미크론 변이 후로 원내 직원 감염이 많았다. 원내 직원 확진이 이어지면서 일손이 모자라지 않을까 (우려로) 병원마다 격리나 감염 관리 대책 정비를 고민하고 있다"고 밝혔다.

정부도 대책 마련에 나섰다. 중앙사고수습본부와 중앙방역대책본부는 지난 9일 '병원 내 의료진 감염 대비 의료기관 업무연속성계획(BCP) 지침'을 공개했다.

하루 확진자가 5만명이 넘는 BCP '3단계'에서는 돌파감염된 무증상·경증 의료기관 종사자는 3일 격리 후 신속항원검사 결과 음성이면 KF94 마스크를 쓰고 근무할 수 있다. 접종완료자면 접촉자로 판별돼도 별도 격리 없이 근무 가능하다. 의료기관은 신규 인력을 긴급 채용하고 군의관·공보의·간호인력 등이 파견된다.

그러나 의료기관 특성상 실제 현장에서 BCP 지침을 곧장 적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감염 규모가 이미 의료기관이 감당할 수준을 넘어섰다는 목소리도 나왔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지난 14일 SNS에 "직원이 확진되면서 일부 과가 입원 환자를 받지 못하고 있다. BCP를 가동하고 싶어도 의료진처럼 역할 구분이 명확하고 대체 인력을 구하기 힘든 영역은 가동하기 힘들다"고 토로했다.

이 교수는 이날 ‘코~안심TV’에도 출연해 "확진자가 5만명이 넘어가면 사회 필수시설에 균열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이미 일선 병원에서 균열이 시작됐다"며 "종합병원, 요양병원까지 원내 감염으로 상황이 악화되고 있다"고 했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자가 계속 늘어날 경우 사회필수시설 기능이 멈출 수 있다고 우려했다.
한림대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이재갑 교수는 오미크론 변이로 확진자가 계속 늘어날 경우 사회필수시설 기능이 멈출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의료기관에서 시작된 '균열'이 학교처럼 다른 사회 필수시설로 번질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지금은 방역을 완화할 시점이 아니라고 했다.

이 교수는 "상황이 이렇게 돌아가면 오는 3월 개학도 어렵다"며 "병원이 겪는 일이 학교에서도 똑같이 벌어진다. 돌파감염으로 한 학년 담당 교사 5~6명이 출근을 못하면 해당 학년 운영 자체가 어려워진다"고 지적했다.

이 교수는 "정부는 확진자 규모는 크지만 중증환자가 많지 않다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를 언급하고 있다. 지금 거리두기를 완화하고 확진자가 더 늘어나면 사회 필수시설이 정지되는 일까지 벌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 교수는 지금부터라도 오미크론 확산 규모를 억제해 사회 필수시설의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했다.

이 교수는 "델타 변이가 중증환자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였다면 오미크론 변이는 경증·중증등 환자에 대한 스트레스 테스트였는데 이미 졌다. 늘어난 확진자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하고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중환자가 늘지 않는다고 해서 괜찮다고 하기에는 상황이 위험하다. 사회 필수시설 종사자 감염이 불러오는 파급 효과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대비하면서 유행 상황을 통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