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정복추진기획단 김흥태 단장, 항암신약 가치 재평가 주문

"비싼 항암제가 환자가 얻는 편익과 반드시 비례하는 건 아니다."

복지부 암정복추진기획단 김흥태 단장

보건복지부 암정복추진기획단 김흥태 단장이 13일 국회도서관에서 개최된 제64회 암정복포럼에서 고가 항암신약의 쓰임에 대해 일침을 가했다.

최근 연 수천만원 이상이 드는 고가의 항암제들이 잇달아 등장하면서, 학계에선 항암제 치료를 받는 환자가 겪는 경제적 어려움을 항암제의 물리적 독성에 비유해 '재정독성'이고 표현하고 있다.

김흥태 단장에 따르면 지난 40년간 암환자의 5년 생존율은 49%에서 68%로 약 20% 증가했다.

하지만 이러한 생존율 향상에 대한 기여도는 예방과 조기검진이 80%이며, 약제는 20% 정도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즉 표적항암제, 면역항암제 등이 암 치료에 효과가 있고 생존율 향상 기여도가 그리 높지 않다는 것이다.

그 근거로 2014년부터 2016년까지 FDA에서 승인을 받은 항암제 중 ASCO(American Society of Clinical Oncology, 미국 임상종양학회) 기준 의미있는 임상적 이점을 지닌 약제는 9건(19%)에 불과하고, 유럽에서도 이와 비슷한 결과가 도출됐음을 들었다.

반면 약제비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김 단장은 설명했다.

김 단장은 "2016년 항암제 청구액은 약 1조390억으로 전체 약품비의 6.8% 수준이지만, 전체 약제 대비 약품비 증가율이 2배 수준에 달한다"며 "암환자의 1인당 항암제 연간 투약 비용 역시 5년 사이 33% 올랐다"고 지적했다.

최근 출시되는 약제가 환자에게 주는 혜택에 비해 지나치게 비싸고, 환자의 접근성 역시 떨어져 개선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이에 김 단장은 효과성이 있는 약제를 중심으로 올바른 평가 과정을 거쳐야 한다고 주장했다.

현행 비용효과성 평가는 건강보험 등재기간에 영향을 주고 적정가격 선정에 대한 환자, 의료계, 시민단체, 제약사 등의 각기 다른 입장을 충족시키지 못해, 공론화를 통한 새로운 대안 모색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흥태 단장은 "접근성 및 보장성 강화를 위해 고가 신약의 합리적인 평가 방법 검토가 필요하다. 의약품의 등재기간 단축 및 급여율 증가로 보장성은 올라갈 수 있을 것"이라며 "사회적 필요도가 큰 약제 등재를 위한 평가 역시 환자 본인부담금 차등 적용이 하나의 방법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 치료효과가 뛰어나고 재정 영향이 매우 큰 고가 항암신약을 효과적으로 보장하기 위해 대안적 가격 지불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