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CA 신채민 미래보건의료정책연구단장 "안전하게 사용 가능한지 평가"

고령화로 인한 만성질환관리, 개인 맞춤형 건강증진 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지만, 관련한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기반 의료기술은 미진한 실정이다.

이에 대안을 찾고자 정부는 물론 산학연까지 팔을 걷어 붙였다. 그 대표적인 예가 지난해 6월 출범한 한국보건의료연구원 미래보건의료정책연구단.

18명의 연구진들로 구성된 미래보건의료정책연구단은 보건의료정책개발에 필요한 근거를 제공하는 연구 및 관련 시범사업을 기획·평가하는 조직으로,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대비하고,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의 개발은 물론 국내 보건의료정책이 한걸음 더 발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립됐다.

지난해 ‘ICT 기반 미래보건의료정책 로드맵’을 개발했으며, 올해에는 의료전달체계 개선을 위한 만성질환관리 시범사업, 스마트 헬스케어 서비스 등 의료계의 주요 관심사업을 평가하고 개선안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신채민 미래보건의료정책연구단장은 최근 본지와 만나 “새 정부가 해결해야 할 보건복지 정책과 관련해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을 개발하고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겠다”고 포부를 밝혔다.

연구단은 지난해 수차례에 걸친 미래보건의료포럼을 통해 의료계는 물론, 산업계, 언론계, 정부, 환자 등으로부터 의견을 수렴, 8가지의 세부 미래보건의료정책 실행목표를 도출한 바 있다.

신 단장은 ICT에 기반한 정책을 수립하기 위해선 보건의료 안전망을 구축하고 임상연구 활성화, 정보보호 및 공유체계 구축, 의료전달체계의 효율적 변화, 민관협력체계 구축 등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했다.

신 단장은 “이 방향은 새 정부의 정책기조와도 일맥상통하다”며 “올해는 만성질환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지침개발을 위해 ICT 기반 임상가이드라인 개발 연구를 하고 있다. 재가노인의 효율적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ICT 기반 방문간호서비스 시범사업 및 평가업무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이같은 스마트헬스케어 서비스에 대해서 기존에도 적잖은 오해가 있었던 만큼 신중하게 접근하고 있다”며 “스마트헬스케어의 타깃은 의료 취약계층이다. 이들에게 어떻게 양질의 의료를 제공할 수 있을지에 접근할 것이며, 전 세계의 임상문헌 등 현황을 파악해 효과적이면서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을지 연구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기존의 기술평가 수준이 아닌 전세계 신개발 의료기술을 모니터링하고 유망한 기술은 임상적 근거와 잠재적 영향력을 분석해 국내 도입토록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는 뜻도 밝혔다.

신 단장은 “스마트헬스케어에 관한 많은 기술이 개발 중이며, 식약처 허가를 받은 기술도 있다. 이 기술 중에는 수천만원, 수억원에 달하는 비용이 드는 것도 있다. 이러한 기술이 도입될 때 얼마나 임상적 근거가 있으며, 그 효과는 어느 정도인지 분석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재활로봇이 얼마나 환자 치료에 효과가 있는지를 분석해 리포트를 발간할 예정이며, 근거가 미흡하다면 무엇이 필요한지를 알리도록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기존의 연구기관들이 수행한 시범사업 등 정책과제에 대한 효과를 평가해 사업의 설계부터 결과까지 분석하는 틀을 만들겠다고도 했다.

신 단장은 “그동안 어떤 사업을 시행한 후에 사업진행경과나 만족도평가, 건수 등을 보고하는 수준이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사업의 계획은 잘됐는지, 과정과 결과값은 어떤지 평가해야 한다”며 “이러한 성과 평가 방법론을 개발해 근거에 기반한 정책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그는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고 활용도가 높은 연구결과를 제시해 나가고 싶다”면서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공공기관이 서로 유기적으로 협력해 시너지 효과를 내야 할 것이며, 지금도 관련 단체들과 함께 논의해 나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