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외과학회, 갑상선암 검진 권고안에 대해 강한 반감

[청년의사 신문 김선홍] 정부가 마련한 갑상선암 검진 권고안을 두고 외과 의사들의 강한 성토가 이어졌다.

지난 서울 삼성동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대한외과학회의 ‘암검진 근거평가 및 갑상선암 검진 권고안’에 대한 토론회에서 국립암센터 암검진사업과 김열 부장은 주제발표를 통해 "급증하는 검진율과 함께 갑상선암의 조기 발견도 증가했지만 그에 비해 환자의 생존율 및 사망 시기에는 큰 변화가 없었다”고 지적했다.

김열 부장은 “세계적 추세와 그간의 연구 결과를 따져봤을 때 ‘초음파를 이용한 갑상선암 선별 검사’가 무증상 성인에게 권고하거나 반대할 만한 의과학적 근거가 불충분했다"며 '이에 갑상선암 검진에서 '일상적인 선별 검사’는 권고하지 않고 다만 갑상선암 검진을 환자가 원하는 경우 이득과 위해에 대해 적절한 정보를 제공한 후에는 검진을 할 수 있도록 권고안을 마련됐다”고 설명했다.

김 부장은 “예방 이득에 대한 근거가 부족하다면 일상적으로 해당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는 것이 타당하다”며 “건강 검진은 건강한 인구를 대상으로 하기 때문에 ‘과잉 진료·과잉 치료’ 등의 위해 요소가 있다. 환자의 불필요한 심리적 고통과 불필요한 추가 진료 비용을 줄이기 위해 검진은 신중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같은 발표에 대해 외과 의사들은 강한 반감을 드러냈다.


▲ 패널 토론 김선홍 기자

"1cm 이하라도 호랑이 새끼인 건 마찬가지"

가천의대 외과 이영돈 교수는 “갑상선암 검진의 예방 및 조기 진단의 이득이 적다는 근거로 많이 등장하는 일본의 논문이 있는데 자세히 들여다보면 이 논문이 숨기고 있는 부분이 있다. 1cm 이하로 갑상선 암을 진단 받은 후, 3mm 이상 크기가 증가하는 경우가 5~10년 사이에는 15.9%에 불과하지만 15년이 지나면 45% 이상의 환자에서 그 크기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난다”며 “아무리 작은 크기의 갑상선암이 큰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다고 해도 결국 그 또한 ‘호랑이 새끼’라 할 수 있다. 조금이라도 내 아이를 해칠 확률이 있다면 안키우는 게 맞다”며 권고안에 반대하는 의견을 밝혔다.

충북의대 외과 교수는 '과잉진단·과잉치료'는 표현부터가 잘못됐다고 주장했다.

그는 “의사들의 과잉진단과 과잉치료가 문제인 것처럼 대두되고 있는데, 부적절한 표현이다. 2000년대 초 갑상선암 진단이 급증했지만, 당시의 증거수준은 작은 종양에 대해 어떻게 처리할지 답이 없었다. 그런 상황에서 의사들은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했다”며 “그런데 10년이 지난 지금 작은 크기의 갑상선암은 진행이 느리고, 적은 수에서만 사망으로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해서 과거의 진료형태를 모두 과잉진료라고 해석하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그는 “지금은 치료전략을 바꿔야 할 뿐이지, 지난 시간들을 과잉진료로 해석해선 안된다”며 “또한 국가에서 나서서 갑상선 암의 국가검진 등재 여부를 두고 화두를 던지고선 ‘일상적으로는 할 필요가 없다’고 말하는 것은 거꾸로 환자가 진료와 치료를 받고자 결정하는 것을 제한하는 것이 될 수 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또다른 회원은 “권고안이 오히려 국민들에게 오해를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우려하기도 했다.

그는 “갑상선 암 검진의 이득과 위해를 따질 충분한 증거가 없다고 하면서도 권고하지는 않는다고 하는 것은 전문가들의 말이지, 일반 국민들은 검진을 안하는 게 맞다고 충분히 받아들일 수 있다”며 “마치 갑상선 암은 증세가 있어야만 진단할 수 있고, 미세한 크기는 수술할 필요가 전혀 없는 것으로 호도되고 있는데 검진의 목적은 원래 조기에 문제를 발견해서 생명을 보전하고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것이다. 때문에 비용과 생존율만 따져선 안된다”고 말했다.

권고안 마련 작업에 외과 의사가 빠져 있던 데 대해 문제를 제기하는 목소리도 있다.

그는 “왜 검진에 외과 의사가 나서려고 하느냐고 말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수술을 해보면 안다. 조금만 더 빨리 발견했으면 좋았을텐데 하는 경우가 무수하다. 재발 수술의 경우에는 더욱 더 힘들다. 그런데도 권고안을 만든 사람들 중 수술하는 사람들이 없었다는 건 정말 화가 나는 일”이라며 “충분한 전문가의 조언 없이 나온 권고안을 갖고, 계속해서 증상이 있는 사람들만 검사를 하라고 한다면 그 책임도 분명 국가가 져야 할 것”이라고 경고하기도 했다.

국립암센터 김열 부장은 이러한 의견들에 대해 “분명히 현장에서는 안타까운 일들이 충분히 있을 거라고 본다. 하지만 건강한 1,000명 중 2명에서 갑상선암이 있을 수 있다고 해서, 모든 사람을 다 검사하는 것이 맞냐는 거다. 일상적인 선별검사를 권고하지 않는다는 것은 유방암과 같은 급진적인 다른 레벨의 암종처럼 정기검진을 권고하지 않는다는 뜻이다”며 “이는 무분별한 검사로 발견되는 갑상선암으로 인해 국민들 사이에 막연한 두려움이 퍼지는 것을 막기 위한 것이기도 하다”고 설명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