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운영 단축, 2학기 연속 휴학 금지 등 '당황스럽다' 반응
의대교수 "5년 단축은 본과 교육 늘리라는 것…여력 없다"

교육부가 조건부 휴학 승인 방안을 제시한 '의대 학사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을 발표했지만 의학교육 현장은 일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반응이다(ⓒ청년의사).
교육부가 조건부 휴학 승인 방안을 제시한 '의대 학사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을 발표했지만 의학교육 현장은 일을 더 어렵게 만들고 있다는 반응이다(ⓒ청년의사).

교육부가 의대생이 2025학년도에 복귀하는 것을 조건으로 휴학을 승인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히자 의학교육현장에서는 “일을 망치고 있다”는 푸념이 나왔다.

서울의대가 의대생 휴학을 승인한 후 일부 의대에서도 휴학계를 수용하자는 분위기가 조성됐지만 교육부가 휴학계를 승인하는 조건으로 2025학년도 복귀 등을 내걸자 오히려 학생들의 반발만 커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지방의대에서 교무부학장을 맡고 있는 A교수는 7일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교육부는 그냥 가만히 있어야 했다”며 "교육부 발표로 학교와 학생 간 소통이 더 어려워졌다"고 토로했다.

의대 내에서도 휴학계를 수용하자는 이야기도 나왔지만 교육부 발표로 의대생들이 반발하며 분위기만 안 좋아졌다는 것이다.

A교수는 “서울의대가 휴학계를 승인한 후 학내에서 다른 학교의 분위기를 살피면서 어떻게든 휴학계를 승인하자는 이야기도 나왔다”며 “그런데 교육부의 이상한 발표로 학생들이 반발하면서 오히려 역효과만 난 상황”이라고 토로했다.

이어 “교육부 발표처럼 '동맹휴학이 휴학 사유가 아니라고 명시만 하면 된다'면 사유를 다르게 적어서라도 유급이나 소송까지 갈 일을 피하는 게 맞다”며 "2학기 연속 휴학 금지, 5년제로 학사 단축 운영 검토 등은 당황스럽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왜 사족을 붙여서 일을 어렵게 하는지 모르겠다. 교육부는 숙제를 푼 것처럼 기뻐하는데, 오히려 상황을 더 꼬이게 만들고 있다”고 강조했다.

지방 국립의대 B교수도 교육부 발표에 대한 학생들 반발이 상당하다고 했다.

B교수는 “학생들이 이런 조건까지 동의하면서 휴학계를 승인받고 싶진 않다고 반발하고 있다”며 “복귀는커녕 휴학계 승인을 위한 동의를 구하기도 쉽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의대 학사과정을 6년에서 5년으로 줄이는 방안에도 부정적이었다. 오히려 의학과 수업을 늘릴 필요성이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데다 전공의 사직 후 교수들이 교육과정 개편에 나설 여력도 없다는 것이다.

A 교수는 “최근 의예과의 교양 수업을 줄이고 의학과 수업을 의예과로 내려서 교육하자는 이야기도 나오고 있다”며 “현재 기존 의학교육 과정도 더 늘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는데 5년제를 할 이유도 없고 할 수도 없다”고 일축했다.

이어 “교수들이 환자진료하느라 (교육) 여력이 없다. 앞으로 필수의료과 전공의들도 돌아오지 않을 것으로 보여 교육의 질은 떨어질 게 뻔하다”라며 “이미 6년제로 잘 운영되고 있는 것을 5년제로 개편할 필요도 느끼지 못하겠고 그렇게 할 여력도 없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