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홍림 총장 교육위 국감서 "학생 복귀와 학사 운영 위한 결정"
"서울대에서 학생 휴학을 총장이 승인하는 형태는 아니라고 생각"

서울대 유홍림 총장이 국회 교육위 국감에서 학생 휴학을 승인한 의대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사진 출처: 국회방송 유튜브 생중계 화면 갈무리).
서울대 유홍림 총장이 국회 교육위 국감에서 학생 휴학을 승인한 의대 결정을 존중한다고 밝혔다(사진 출처: 국회방송 유튜브 생중계 화면 갈무리).

서울대 유홍림 총장이 학생 휴학을 승인한 의대 결정을 존중한다고 했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교육부에 서울대 감사 철회를 촉구했다.

유 총장은 15일 국회 교육위 국정감사에서 의대 교육 정상화를 위해 조건 없는 휴학 승인이 필요하다고 보느냐는 더불어민주당 백승아 의원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유 총장은 "의대로부터 (교육부가 방침대로) 학사를 탄력적으로 운영해도 물리적 한계가 있다고 보고 받았다"며 "학사 운영은 의대에 자율권이 있다. 휴학뿐만 아니라 학사 운영에 관련한 모든 권한이 학장에게 있다. 의대의 결정을 존중한다"고 했다.

이에 국민의힘 정성국 의원이 "이 문제를 바로잡을 의향이 없느냐"고 물었으나 유 총장은 "학장이 (휴학을) 할 수 있다고 (결정)한 것을 총장이 (다시) 승인하는 형태로 가는 건 아니라고 생각한다"며 "서울대에서 총장이 학생 휴학까지 승인하는 형태로 가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했다.

정 의원이 "의대 김정은 학장이 의사 이익을 관철하기 위해 독단으로 집단휴학을 방조하고 묵시적으로 조장할 수 있다"고 주장하자 "이번 휴학 승인은 사전 보고나 협의는 없었다"면서도 "의대생 복귀와 학사 운영을 위한 선택으로 받아들인다"고 했다.

유 총장은 "대학 본부와 의대는 학생 복귀를 위해 여러 차례 논의했다. 의대는 휴학 승인 과정에서 주임교수회의등 여러 절차를 밟았다. 이 과정에서 (의대는) 학생 복귀 노력이 한계점에 달했고 이대로는 현실적인 교과 운영이 어렵다고 봤다. 이것이 휴학 승인의 가장 큰 이유였다고 사후 보고받았다"고 했다.

그러면서 "학생 복귀라는 목표는 교육부는 물론 우리 대학과 병원도 마찬가지다. 그리고 학생 피해를 최소화하는 것도 미래 의료인 양성 차원에서 필요하다"며 "이번 휴학 승인도 집단 유급 등을 막아야 한다는 필요성을 고려해 이뤄졌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한편, 의대 교육 과정 단축 논란에 대해서는 사전에 교육부와 협의한 적은 없다는 취지로 답했다.

유 총장은 "(의대 5년제 단축이) 일률적인 학제 개편 논의라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은 서울대가 파악하거나 알고 있지 않다"면서 "이 부분은 의대와 교육부가 협의해야 할 문제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교육위 "서울대 감사 즉각 철회하는 게 장관에게 좋을 것" 경고

국회 교육위 김영호 위원장은 교육부에 서울대 감사를 즉시 철회하라고 요구했다(사진 출처: 국회방송 유튜브 생중계 화면 갈무리).
국회 교육위 김영호 위원장은 교육부에 서울대 감사를 즉시 철회하라고 요구했다(사진 출처: 국회방송 유튜브 생중계 화면 갈무리).

이날 국감에서 교육위 야당 측 위원들은 교육부의 서울대 감사는 의대 휴학 승인에 대한 "보복성 감사"이자 "대학에 대한 겁박"이라면서 즉시 철회를 요구했다.

김영호 교육위원장(민주당)은 "이주호 장관에게 감사를 철회하라고 했는데 오히려 감사 기간을 연장했다. 장관이 우리 교육위원회 자체를 무시하는 거다. 아주 모멸감을 느꼈다. 오늘 국감 끝나고 서울대 감사 중단하라고 교육부 장관에게 다시 한번 말하라"면서 "감사를 철회하고 휴학 문제를 대학과 교육부가 함께 수습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야당은 보복성 감사라고 교육부를 질타해 왔다. (의대 정원) 문제로 야당 도움을 받아야 할 교육부가 이런 식으로 갈등 구조를 만들면 안 된다"며 "다시 한 번 말한다. 서울대 감사는 빨리 철회하라. 그게 장관에게도 좋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