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리핑서 “의료계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시” 전제로 언급
2025년도 의과대학 정원 증원 재논의와 관련해 정부 입장이 다소 애매모호해졌다. 재논의는 불가하다는 말 대신 ‘의료계가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하면 소상히 논의하겠다’고 언급했다.
정부는 4일 오후 열린 의사 집단행동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건복지부 권병기 필수의료지원관은 2025년도 의대 정원 재논의와 관련해 “(의료계의) 여야의정협의체 참석에 전제조건을 지속적으로 내세우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고 의대 정원에 관한 정부 입장은 계속 이야기한 바 있다”며 “협의체가 시작되면 의료계와 소상히 협의해 이야기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어떤 형식이든 의료계와 대화하기를 희망하고 있고 의료계가 대화의 장에 나올 수 있도록 다각적인 접촉을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지금까지 정부가 2025년 의대 정원 재논의는 불가하다는 입장을 명확히 해왔던 것과 다르게 의료계가 여야의정협의체에 참여할 경우 2025년 의대 정원 재논의 관련 논의가 가능하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최근 서울의대를 시작으로 의대생 휴학 승인이 이어질 것이란 전망에 대해서는 “교육부는 집단행동의 일환으로 동맹휴학은 정당한 휴학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입장”이라며 “의대 교육이 조속히 정상화되도록 관계부처 간 긴밀히 협의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곽성순 기자
kss@docdocdoc.co.kr
관련기사
- "政, 의학 최후 보루 의평원 무력화 시도…국가 아닌 범죄자"
- 소비자 단체도 서울의대 감사 비판…"의료 질 저하 초래"
- 醫 "25년 증원시 26년 감원 불가피…파탄 막아야"
- 25년 의대 정원 논의 불가에 의협 “26년 감원 보장하라”
- 조규홍 장관 “논의주제 제한 없지만 25년 의대 증원은 제외”
- 政, 내년 복귀 전제 ‘조건부 휴학’ 허용…5년 단축 운영도 검토
- ‘휴학 승인’ 서울의대 감사에 '혼란'에 빠진 국립의대들
- 의대 교육과정 줄이는 政, 야당 “차라리 대통령 임기 줄여라”
- 교육부 '조건부 휴학 승인'에 현장 '멘붕'…"왜 일 망치나"
- ‘한덕수 총리’ 여야의정협의체 출범 막는 걸림돌로 지목
- 의학회·KAMC, 여야의정협의체 참여 결정…"의정 사태 해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