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병원 응급실 상당수 진료 제한
“정치권, 대통령 결단 촉구해야”

응급실 운영을 제한하는 대학병원이 늘고 있다.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정치권이 나서서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해야 한다고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응급실 운영을 제한하는 대학병원이 늘고 있다.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는 정치권이 나서서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해야 한다고 했다(사진출처: 게티이미지).

윤석열 대통령은 “문제없다”지만 의료 현장 곳곳에는 이미 경고음이 켜졌다. 대학병원 응급실마다 진료가 제한되는 질환이 늘고 있다. 응급실 운영을 제한하는 대학병원도 늘었다.

전국의대교수비상대책위원회(전의비)에 따르면 1일 기준 57개 대학병원 응급실 중 14곳은 응급 분만을 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흉부대동맥수술이 안 되는 응급실은 16곳, 영유아 장폐색 시술이 안 되는 곳은 24곳, 영유아 내시경이 안 되는 곳은 46곳이다.

여기에 건국대충주병원, 순천향대천안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세종충남대병원, 이대목동병원, 강원대병원, 여의도성모병원이 응급실 운영을 제한하고 있다.

전의비는 추석 연휴 응급의료체계 유지에 정부 대책이 집중돼 있는데 그 이후가 더 큰 문제라고 지적했다.

전의비는 2일 성명서를 내고 “(윤 대통령은) 최근 5개월간 의료현장에 한 번도 가지 않았으면서 기자에게 현장에 가보라고 말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의비는 “대한민국 의료 현장은 심각한 위기에 처해 있다. 정부 발표와 다르게 이미 많은 응급실이 정상적인 진료를 하지 못하고 있다”며 “추석을 기점으로 응급진료가 안 되는 질환이 더욱 증가하고 응급실을 닫는 대학이 늘어날 것이다. 이런 상황이 비상진료체계가 잘 돌아가는 상황이냐”고 반문했다.

전의비는 “교육부 이주호 장관은 6개월만 버티면 이긴다며 의사들을 굴복시킬 대상으로 보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번아웃으로 응급실 진료제한을 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진료제한에 나서면 자격 취소 또는 면허정지로 대응하겠다고 한다”며 “정치권은 의료 위기를 심각하게 받아들이고 대통령의 결단을 촉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한 “대법원은 판결을 통해 국민 건강과 한국의료 붕괴를 막기 위해 의대 정원 2,000명 증원 처분의 효력정지 결정을 내려야 한다”며 “의료붕괴를 가져온 책임자를 처벌하고 의대 증원을 중단하는 게 사태를 진정시키는 유일한 대안”이라고 주장했다.

의료계 내부는 더 강경해지고 있다. 미래의료포럼은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선배 의사들에게 “적극적인 행동”을 요구했다. 미래의료포럼은 “모든 선배 의사들은 후배들이 미래를 포기할 수밖에 없는 현재를 만든 원죄를 지은 사람들”이라며 “더 이상 노예로 살기 싫다면 우리 발목에 채워져 있던 쇠고랑을 깨부숴야 한다”고 했다.

이어 “지금보다 더 크게 목소리를 높이자. 지금보다 더 깊게 동료를 위하자. 지금보다 더 열심히 참여하자”며 “뭉쳐야 강하다. 모두 다 함께 나가자”고 했다.

대한의사협회 대의원회 김교웅 의장은 지난달 31일 열린 임시대의원총회에서 “의사는 당연히 환자 곁에 있어야 된다는 논리를 내려놓기 바란다”며 “사즉생의 각오로 다시 출발해야 한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