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서 밝혀

권역응급의료센터도 전공의 인력 공백을 메우지 못하면서 응급의학과 전문의 이탈도 늘고 있다(사진출처: 게이티미지).
정부가 오는 4일부터 운영 제한 응급실에 군의관을 배치하겠다고 밝혔다(사진출처: 게이티미지).

오는 4일부터 운영 제한 응급실에 군의관이 배치된다. 응급실 배후진료 강화를 위해 순환당직제도 확대한다.

정부는 2일 오후 ‘응급의료 등 비상진료 대응 관련 브리핑’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현재 전체 409개의 응급실 중 99%인 406개소는 24시간 운영을 하고 있으며 6.6%에 해당하는 27개소는 병상을 축소 운영 중이다. 또한 8월 30일 기준 응급의료기관 병상은 5,918개로 평시인 2월 1주 6,069개의 97.5% 수준이다.

인력 현황을 보면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신고 기준, 권역과 지역 응급의료센터 180개소의 응급의학과 전문의는 지난해 12월 1,504명에서 올해 8월 26일 기준 1,587명으로 105% 수준이지만, 전공의 이탈로 응급실에 근무하는 전문의, 일반의, 전공의를 포함한 총 의사는 평시 대비 73.4% 수준이다.

중앙응급의료센터 종합상황판에 표출된 권역과 지역응급의료센터 27종 후속진료 가능여부 분석 결과, 진료가 가능한 기관은 8월 5주 평균 102개소로 평시 109개소 대비 7개소 감소했다.

응급환자 현황을 보면 8월은 코로나19 등의 영향으로 평시보다 많은 환자가 응급실을 내원했다. 평시 일 평균 응급실 내원환자는 1만7,892명이나 8월 3주에는 1만9,783명으로 증가했다.

상대적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일부 권역, 지역 응급의료센터 현황도 공개했다. 복지부에 따르면 2일 현재 건국대 충주병원, 강원대병원, 세종 충남대병원 등 3개 의료기관이 응급실을 단축 운영하고 있다.

건국대 충주병원은 응급실 근무 의사 7명 전원 사직 예정이었으나 지자체와 병원 설득으로 2명이 복귀해 야간과 주말에 한해 운영 제한이 있는 상황이며, 강원대병원과 세종 충남대병원은 2일부터 성인 야간 진료가 제한되지만 추석 연휴 기간에는 정상 운영할 예정이다.

아주대병원은 지난 8월 28일 운영 중단 보도가 있었으나 사실이 아니며 휴진없이 운영 중이라고도 했다.

응급의료체계 문제 해결을 위한 대책도 발표했다. 이에 따라 ▲응급실 전문의 진찰료 250% 가산 ▲후속 진료인 수술, 처치, 마취 행위에 대한 200% 가산은 이번 주 건강보험정책심의위원회를 거쳐 후속 절차를 조속히 마무리할 예정이라고 했다.

또 응급실 운영이 일부 제한된 의료기관에 총 15명의 군의관을 오는 4일부터 배치하고, 9일부터 8차 파견될 약 235명의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를 위험기관 중심으로 집중 배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역별로 응급 또는 후속진료가 가능한 의료인력을 공유하고 순환당직제 대상 확대를 통해 지역 응급의료 수요를 적시에 해결하겠다고 했다.

오는 11일부터 25일까지 약 2주간은 ‘추석명절 비상응급 대응주간’으로 운영하며 2024년 설 연휴보다 400여개소 많은 4,000개소 이상의 당직 병의원, 60개의 코로나19 협력병원, 108개소의 발열클리닉 등을 지정해 경증환자의 지역 병의원 접근성을 높이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