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너져가는 응급의료체계 기적적 회생 기여하길”
응급의료종사자들의 법적 책임 부담을 완화하고 응급의료기관의 정당한 환자 수용 기피 사유를 법으로 규정하는 법안이 발의됐다.
개혁신당 이주영 의원은 30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응급의료 살리기 패키지 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응급의료 살리기 패키지 법안은 ‘응급의료법 개정안’과 ‘의료사고 피해구제 및 의료분쟁 조정법 개정안’으로 구성돼 있다.
법안은 응급의료종사자의 의료행위 이후 사상이 발생해도 그 행위가 불가피했고 회피가능한 중대한 과실이 명백하게 입증되지 않는 경우 형사책임을 면제하는 방안을 담았다.
응급상황 중 발생한 의료사고를 의료사고 보상사업 대상 범위에 추가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또한 응급의료기관이 응급의료를 거부 또는 기피할 수 있는 정당한 사유를 법에 명시해 수용능력을 넘어선 무리한 환자 수용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의료사고를 방지하고자 했다.
이 의원은 “응급실 뺑뺑이 문제는 의정갈등 사태 이전부터 심화되고 있던 고질적인 문제”라며 “선의로 이뤄지는 의료행위를 그 결과에 따라 법으로 처벌하려는 현재 상황이 계속된다면 종사자 이탈로 인한 응급의료체계 붕괴는 기정사실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원은 “그동안 현장의 어려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 채 법적 제제에만 치중해온 정부의 설익은 정책이 응급의료체계 파국을 앞당겼다”며 “이제는 현장의 목소리를 제대로 담은 본질적이고 파격적인 대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무너져가는 응급의료체계의 기적적 회생에 기여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김은영 기자
key@docdocdoc.co.kr
관련기사
- ‘응급의료면책법’ 준비 “슬펐다”는 이주영 의원 “법까지 만들어야 하나”
- 전문의 중심? 6개월간 전공의 공백도 못 메운 응급실…“무너지는 중”
- ‘간호법’ 반대 이주영 “직역 다툼 불가피…전문의 배출에도 악영향”
- ‘간호법’ 국회 본회의 통과…이주영·이준석 의원만 반대
- 與野 간호법 공방…여 “야당이 소극적” vs 야 “대통령 거부권이 원인”
- 의정갈등 속 의료소비자가 원하는 의료개혁 이루려면?
- "물에 빠진 사람 발견해 뛰어든 사람에게 사고 책임까지 묻나"
- 응급의학과 전문의들 “이주영 의원 법률안 적극 지지”
- 이주영 의원, 대통령 향해 “잘못 인정도 되돌아보지도 않아” 일침
- 응급실 의사의 경고 “전공의 없는 추석, 교수들도 두렵다”
- ‘권역 대장병원’ 추진에 의사들 “권역책임의료기관 재탕”
- 매년 ‘복붙’ 추석 응급체계, 이번엔 논란…“결국 당직병원 강제지정”
- 문제없는 의료현장? “추석 이후 문 닫는 응급실 증가”
- "30년간 지켜온 응급의료, 6개월만에 물거품”…민주, 현장 의견 청취
- 갈 곳 잃은 소아 응급환자들…아동병원協 “대책마련 서둘러 달라”
- '공든 탑'이 무너지고 있다…국회의원 '이주영'의 두려움
- 전공의 유일한 소통창구 ‘이주영’ 중재안 마련하나
- "의료사고, 수사기관보다 의료전문가가 먼저 조사해야"
- "응급실 진료거부 ‘정당한 사유', 지침 아닌 법률 규정해야”
- 이주영 의원 “분수령 맞은 한국의료…모두 떠나기 전 도와달라”
- 이주영 ‘응급의료 살리기법’ 복지위 계류…“의개특위 논의 고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