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복지부 응급의료 브리핑에 “국민 호도” 비판

대한의사협회는 정부가 응급의료 위기를 부정하고 '눈가리기식 대책'만 내놓고 있다고 비판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는 정부가 응급의료 위기를 부정하고 '눈가리기식 대책'만 내놓고 있다고 비판했다(ⓒ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는 응급실부터 무너지기 시작한 의료위기에도 정부가 이를 부정하고 “눈가리기식 대책”으로 대응한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2일 보건복지부 박민수 제2차관의 응급의료 일일브리핑 내용이 “예상에서 한 치도 벗어나지 않았다”며 이같이 말했다. 의협은 “전국 응급실이 무너지고 있는데 정부는 현재 위기를 부정하며 눈가리기식 대책으로 상황을 악화시킨다”고 했다.

전국 응급실의 99%인 406개소가 24시간 운영된다는 발표도 ‘국민 호도용’이라고 비판했다. 의협은 “응급실이 원활히 정상 가동되기 위해 얼마나 많은 인력과 배후 진료과들이 필요한지 전혀 파악하지 않은 채 본인들 입맛에 맞는 통계와 수치를 만들어 국민을 호도하고 있다”며 “불만 켜놓고 응급실이라는 간판만 달아놔도 응급실이라고 숫자를 셀 기세”라고 했다.

의료계가 협조해줄 것으로 믿는다는 발언에 대해서도 “뻔뻔하고 파렴치하기 짝이 없다. 의료시스템 붕괴를 초래한 장본인이며 의료공백 사태 주범인 정부가 할 소리가 아니다”라고 했다. 문 여는 병·의원 신청이 부족하면 응급의료법에 따라 당직의료기관을 지정할 수 있다는 입장에는 “의사들에게 진료하지 않으면 법에 따라 처벌하겠다는 협박”이라며 “의료계 협조를 바란다니 가당키나 한가”라고 했다.

군의관과 공중보건의사 배치 계획에는 “군의료를 책임지는 군의관들이 복무 중인 부대를 떠나고 농어촌 등 의료취약지에서 근무하는 공보의가 근무지를 떠나면 그 공백을 어떻게 하자는 말이냐”며 “지역의료를 살린다는 정부가 오히려 지역의료를 말살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의협은 “주먹구구 땜질식으로 정책을 강행한 탓에 이미 망가지고 있는 응급의료는 더욱 파국으로 치닫게 됐다”며 “정부가 진정 의료붕괴를 막기 원한다면 일방적인 의대 증원을 지금이라도 중단하고 의료계와 합리적인 협의에 나서라”고 요구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