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과대학 정원 3,058명 중 1,953명을 모집한 2024학년도 수시 모집이 최근 끝났다. 평균 경쟁률은 33.72대 1로 지난해 33.30대 1보다 소폭 상승했다.

그중 인하의대의 논술전형 경쟁률은 무려 660.75대 1로 8명을 뽑는 자리에 5,286명이 지원했다. 이는 지난해 역대 최고 경쟁률이었던 648.33대 1을 넘어선 수치다.

이처럼 최근 의대 진학에 대한 관심은 ‘의대 쏠림’을 넘어 ‘의대 광풍’이라고 표현해도 무방할 정도다. 심지어 ‘SKY’ 진학생들이 의대 진학을 위해 자퇴하기도 하고, 이공계 인재를 양성하는 영재학교 졸업생의 의대 도전도 늘고 있다.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의대 진학반이 성행하고 있음도 익히 알려진 바다.

이러한 현상에 우려를 내비친 정부는 의대 쏠림 현상을 해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히기도 했다. 한덕수 국무총리는 지난 6월 14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의대 쏠림이 바람직하지 않으며 해결을 위해 교육부와 함께 노력하겠다고 했다. 그러나 뚜렷한 해법을 내놓진 못하고 있다.

교육계도 의대가 사회의 인재를 빨아들이는 '블랙홀'이 되고 있다며 우려하고 있다.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할 수 있는 인재들이 의대에만 쏠리는 것은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는 지적이다.

하지만 의대에 지원하는 인재들이 늘어나는 것은 어떻게 보면 합리적인 판단이다. 정년 보장이 어려워지는 현실에서 연봉이 높고 안정적인 전문직에 대한 선호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이처럼 의대 진학 수요가 높은 상황에서 정원까지 확대된다면 의대에 도전하는 수험생들이 더 늘어날 것은 자명하다.

그런데 국회는 오히려 공공의대 신설 법안을 쏟아내며 의대 신설을 부추기고 있다. 제21대 국회에서 현재까지 발의된 공공의대 설립 법안은 15건이며 그중 발의한 의원의 지역구를 의대 설립 지역으로 명시한 법안은 9건이다.

지방에서 근무할 의사를 구하지 못해 연봉 4억원을 제시하는 현실에서 지역 의료 인력을 확보하고 공공의료를 확충한다는 법안의 취지는 좋다. 그러나 지자체까지 나서 유치 경쟁을 벌이며 '의대 신설'에만 몰두하는 것을 보면, 의대 쏠림 문제는 뒷전으로 밀린 듯하다.

지역 공공의료를 확충해야 한다는 주장에는 공감한다. 하지만 의대 쏠림도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다. 국가의 미래를 생각하면 더 그렇다. 미래를 고려하지 않은 무분별한 공공의대 신설 약속이 아닌 의료 제도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과 사회 전반에 미칠 영향을 고려한 방안을 고민해야 할 때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