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의 채용이 관건…공공병원들. 채용률 높일 수 있는 방안 고심
지방의료원연합회 조승연 회장 “어려움 예상되지만 성공 위해 최선”

국립대병원 공공임상교수제 시범사업이 7월부터 시작된다. 공공임상교수가 공공의료기관의 인력부족 문제 해결을 위한 돌파구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시범사업이 성공하기 위해 가장 먼저 넘어야 할 산은 공공임상교수 모집이다. 이에 전국 지방의료원들도 채용 가능성을 조금이라도 높이기 위해 병원별로 필요인력에 대한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공공임상교수를 채용해 공공의료기관에 보내야 하는 국립대병원들의 고민도 깊다. 시범사업 성공을 위해 공공임상교수들의 자부심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고민 중이다.

공공의료기관들, 필요 인력 수요 조사 진행

전국지방의료원연합회 조승연 회장(인천의료원장)은 본지와 통화에서 국립대병원 공공임상교수제 시범사업 추진 현황에 대해 설명했다.

조 회장은 “교육부 계획에 따라 오는 6월부터 공공임상교수를 모집하고 7월부터 공공의료기관에서 근무를 시작해야 하기 때문에 현재 서둘러서 진행 중”이라며 “당장 급한 것은 각 공공의료기관에서 필요한 의사 인력 수요를 조사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조 회장은 “지방의료원 등 각 공공의료기관마다 어떤 과목 의사가 얼마나 필요한지 알아야 150명의 공공임상교수 정원을 각 국립대병원에 배정할 수 있다”며 “아직은 결정된 바가 아무것도 없다. 시작하려고보니 디테일한 부분에서 어려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조 회장은 “공공의료기관에서 요즘 영상의학과 전문의를 구하기 어렵다고 하는데 사실 영상의학과는 대학병원에서도 채용하기 어렵다”며 “심장내과 전문의 중 중재시술하는 분들도 마찬가지다. 공공의료기관에서는 이런 분들을 원하는데 모집이 가능할지 모르겠다”고 현장 상황을 전했다.

조 회장은 “사실 특정 과 문제가 아니라 전체적인 의사 공급문제긴 하지만 지금 그런 문제를 제기하긴 어렵다”며 “공공의료기관들의 요구가 특정 과로 몰리면 시범사업 자체가 어려워 질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수요조사를 하고 조율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고 덧붙였다.

조 회장은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각 공공의료기관들이 시범사업 성공을 가장 큰 목표로 삼고 있다고 했다.

조 회장은 “시범사업을 시작했는데 공공임상교수 모집을 못하면 교육부도 애가 타고 (공공임상교수 정원을) 모집하지 못한 국립대병원은 체면을 구기고, 공공의료기관은 혜택을 받지 못하게 된다”며 “(지역별로 관련 회의를 진행 중인데) 원장들에게 시범사업 성공을 위해 현실적으로 채용이 가능한 인력을 먼저 요구하자고 설득하고 있다. 시범사업에서 공공임상교수가 잘 모집된 후 와서 좋은 모습을 보여야 확충이 가능할 것”이라고 밝혔다.

150명 모집 성공 위해 합심

공공임상교수 150명을 모집해 전국 국립대병원에 나누는 것이 교육부 생각이지만 지역의 국립대병원들이 공공임상교수를 모집하지 못하는 경우 수도권으로 임상교수 정원이 넘어갈 가능성도 있다. 따라서 공공임상교수 정원마저 수도권으로 쏠리는 것 아닌지 우려하는 목소리도 적지않다.

조 회장에 따르면 국립대병원별로 공공임상교수 정원이 정해지면 6월까지 모집하고 정원을 채우지 못할 경우 한번 더 모집 기회가 주어진다. 하지만 두번의 모집에도 정원을 채우지 못할 경우 그 인원은 다른 대학에 넘어가게 된다.

현실적으로 지방 국립대병원에서 모집하지 못한 정원은 서울대병원으로 넘겨질 가능성이 높고 서울대병원에서 채용한 공공임상교수의 경우 수도권에 배치될 수밖에 없다.

조 회장은 “지방 국립대병원에서 공공임상교수 정원을 채우지 못했다고 해서 줄일 수는 없다. 논의 결과 모집하지 못한 정원은 다른 대학에 넘기기로 했다. 따라서 남은 정원은 서울대병원으로 갈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조 회장은 “이 문제를 놓고 채용은 서울대병원에서 하고 배치는 지방으로 하는 방안들도 논의됐는데 (지방 국립대병원과 서울대병원 간) 공공임상교수 공동 관리 등에 어려움이 있다는 의견에 따라 모집한 병원 인근 배치로 결정됐다”며 “수도권 쏠림 우려도 있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선 150명의 공공임상교수를 모집해 현장에서 활동하게 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국립대병원협회 관계자도 본지와 통화에서 “병원들이 (공공임상교수 채용을 위해) 정말 열심히 알아보고 있다”며 “한정된 시간과 인력 내에서 공공임상교수 150명을 채용해야 하기 때문에 쉽지 않지만 제도 성공이 꼭 필요하다는 생각으로 진행 중”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현재의 계획대로라면 오는 20일까지 기획재정부에 (공공임상교수) 배정 요청을 해야 한다”며 “다행히 각 병원 내 노조, 지방정부, 교육부, 복지부 등 관계기관이 합심해 진행하고 있다”고 했다.

근무형태 차이도 문제…‘자부심’ 줄 수 있게 설계 중

공공임상교수를 모집한 후 근무를 시작해도 해결해야 할 문제는 산적하다. 공공임상교수의 근무 형태와 임금 등 갈등 요소가 적지않기 때문이다.

공공임상교수는 대학병원과 공공의료기관을 오가기 때문에 양쪽 모두에서 조직에 녹아드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고 기존 인력과 임금 차이도 반발을 불러올 수 있다.

조 회장은 “공공임상교수는 대학병원과 공공의료기관 모두에서 기존 인력들에게 ‘우리와 다른 사람’이라는 생각을 가지게 할 수 있다”며 “이런 점들까지 모두 고려해 공공임상교수들이 양 쪽 모두에서 잘 적응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조 회장은 “급여문제도 중요하다. 교육부 계획은 공공임상교수의 신분과 처우 등을 최소한 현재 국립대병원에서 근무하고 있는 정규의사와 동일하거나 그 이상이 되도록 하겠다는 것이지만 쉽지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국립대병원은 공공임상교수들이 자부심을 갖고 근무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는 입장이다.

국립대병원협회 관계자는 “진료와 술기 등 질 관리 때문에 (공공임상교수들과) 각 진료과 연계가 잘 돼야 한다는 생각이 있다”며 “특히 하반기부터 국립대병원 공공의료부원장제도가 도입되는 만큼 공공임상교수들도 진료과와 연계되는 형태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무엇보다 공공임상교수들이 공공의료를 수행한다는 자부심을 느끼면서 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국립대병원들도 사업 성공을 위해 최선을 다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7월부터 공공의료기관 근무 목표

한편 교육부는 지난달 28일 ‘국립대병원 공공임상교수제 시범사업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공공임상교수란 국립대병원 소속의 정년보장 정규의사로 소속병원,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지역 공공의료기관에서 코로나19 감염병 같은 재난 대응 등 필수의료와 수련교육 등을 담당하는 의사인력이다.

공공임상교수제 시범사업은 10개의 국립대병원이 150여명의 공공임상교수를 선발해 국립대병원, 지방의료원, 적십자병원 등 공공의료기관에 배치하는 사업으로 6개월 동안 총 187억5,000만원이 투입된다.

임용기간은 최소 3년으로 하되 특별한 사유가 없는 한 재임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소속병원과 지방의료원 등 공공의료기관 간 순환 근무를 하면서 지역의 공공의료수요에 대응해 나갈 방침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