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보장정보원 "서비스 이용자 1년 후 만성질환 유의미하게 개선"
기관 재량에서 필수 사업으로 전환하고 예산·인력 마련 필요

지역사회 만성질환 관리를 위해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 사업을 확대해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

한국사회보장정보원은 지난 18일 '지역보건기관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 활성화 및 확대방안 연구' 보고서에서 지난 해 11월 지역보건의료기관 이용 관련 설문을 분석한 결과,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가 만성질환 관리에 효과적이었다고 밝혔다.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는 건강검진 결과에 따라 보건(지)소에서 상담 서비스나 방문건강관리, 지역사회 중심재활 등 건강증진사업과 연계하는 사업이다. 지난 2019년 사업 시작 당시 4.7% 수준이었던 연계율은 약 1년 반만에 15% 이상으로 상승했다.

5점 만점으로 환산한 지표에서 건강검진 1년 후 만성질환이 개선됐냐는 물음에 사후서비스를 이용한 사람(3.04)이 이용하지 않은 사람(2.81)보다 더 긍정적으로 대답했다.

특히 사후서비스 이용자 중 1~2개 만성질환을 가진 경우, 건강 상태가 1년 전(2.95)보다 현재(3.07) 더 나아졌다고 여겼다.

설문에 참여한 지역보건의료기관 이용자는 만성질환을 평균 2.11개 정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의 필요성을 묻는 질문에 이들 지역보건의료기관 이용자(3.13)가 이용하지 않는 사람(2.93)보다 서비스 필요성을 더 깊이 인지했다.

건강검진결과 사후관리 체계(자료 출처: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건강검진결과 사후관리 체계(자료 출처: 한국사회보장정보원)

그러나 전체 255개 지역보건기관 중 45.9%인 117개 기관만 참여하는데다 일정한 인력이나 지침이 마련되지 않아 사업 확장에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연구진은 "건강검진결과상담 사업이 확대되면 의료기관 및 의료자원이 부족한 농촌지역에서 건강검진 결과에 기초해 보건(지)소, 보건진료소가 지역주민을 위한 1차 의료기관으로서 명실상부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를 위해서 현재 상담 위주로 돌아가는 사업 방식을 벗어나 운동처방이나 정신건강 부분 지원까지 서비스를 확대해야 한다고 했다.

홍보를 통한 사업 인지도를 끌어올리는 것도 중요했다. 지역보건의료기관 이용자 중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를 인지하고 이용한 경험이 있는 경우는 절반 수준에 그쳤다.

연구진은 무엇보다도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를 필수 사업화하고 연계 가능한 사업이나 지침을 명확하게 정의하는 게 중요하다고 했다.

연구진은 "건강검진결과 사후서비스 성과를 보건소 평가항목에 반영하고 예산과 인력 계획을 수립해 지역보건기관이 더 적극적으로 사업에 나설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