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영 의원, 민관 협력으로 병상 부족 해결 강조
“다른 중환자들도 중환자실 필요, 효율성 강화해야”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지난 15일 청년의사 유튜브 방송 '코로나 파이터스 라이브'에 출연해 강제명령보다는 민관 협력을 통해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지난 15일 청년의사 유튜브 방송 '코로나 파이터스 라이브'에 출연해 강제명령보다는 민관 협력을 통해 병상을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상급종합병원은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혀 있다. (병상 동원) 강제 명령이 이뤄지기 전에 유기적인 민관 협력이 이뤄졌으면 한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중환자 병상 부족 논란과 관련, 더불어민주당 신현영 의원은 “코로나19에 역량을 집중하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신 의원은 지난 15일 청년의사 유튜브 방송 ‘코로나 파이터스 라이브’(코파라)에 출연해 민간병원이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는 분위기와 제도를 마련하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의원은 “민간병원이 병상을 더 내놓을 수 있지 않느냐는 시각이 많지만 현실적인 어려움도 있다”며 “사회적인 책무도 있고 중환자실 병상을 내놓을 마음도 있지만 현실적인 한계에 부딪혀 있다. 삼성서울병원, 서울아산병원 등 대형병원들은 (중환자가 너무 많아) 중환자실 병상 자체가 부족하다. 코로나19 중환자나 비(非)코로나19인 중환자 모두 응급으로 중환자실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신 의원은 “중환자실 병상을 더 확충하도록 노력해야 하고 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것도 중요하다”며 “위중한 환자가 우선적으로 중환자실을 이용해야 하고 어느 정도 호전되면 이동할 병상도 있어야 한다. 준중환자실이나 일반병실이 마련돼 있어야 그 자리(중환자실)를 소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신 의원은 “코로나19 환자 분류 체계를 4가지로 나눠야 한다. 생활치료센터도 두 가지로 나뉜다. 확진은 됐지만 증상이 없거나 경증인 사람은 구에서 관장하는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하고 경증이지만 증상이 있으면 남산유스호스텔처럼 서울시가 운영하는 곳으로 입소한다”며 “중환자도 크게 두 타입으로 나눠서 고압산소치료가 필요한 환자와 인공호흡기나 에크모(ECMO)를 달아야 하는 환자로 분류하면 대응이 달라질 수 있다”고 제안했다.

신 의원은 이어 ‘강압’보다는 자발적으로 동참할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하고 제도를 수립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민간병원 등 의료기관들이 고생하고 있으니 수가 등으로 지원해야 한다는 분위기를 만들어야 한다. 그런 분위기를 만들기 위해 민간과 공공이 다 같이 노력해야 한다”며 “국가 차원에서 제한된 재원을 수가로 줄 것인지, 공공을 강화하는데 쓸 것인지를 고민하고 있다”고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