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말 내내 진단검사 준비로 분주…“중증 환자도 빨리 발견해 치료해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2019-nCoV) 감염증 진단검사로 인해 일선 의료 현장이 혼란을 겪었다.

정부는 7일부터 민간의료기관에서도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다며 38개소 명단을 발표했지만 이들 중 상당수는 준비가 안 된 상태였다. 검사 가능한 물량은 1일 3,000여건이라고 했다.

‘실시간 역전사 중합효소 연쇄반응(Real time reverse transcription polymerase chain reaction, rRT-PCR)’ 검사가 가능한 의료기관이더라도 신종 코로나 진단시약 사용법 등을 교육해야 하는데 그 시간조차도 주어지지 않은 채 명단이 발표됐다는 지적이다.

검사기관 명단에 포함된 상당수 의료기관이 주말 동안(8~9일) 부랴부랴 준비해 10일부터 본격적으로 신종 코로나 진단검사를 시작한다.

정부는 7일부터 민간의료기관에서도 신종 코로나 진단검사를 받을 수 있다며 38개소 명단을 발표했다.

주말 동안 발동동 구른 병원들

신종 코로나 rRT-PCR 진단검사는 의심환자에게 채취한 검체에서 RNA를 추출해 ‘cDNA(complementary DNA)’를 합성한 후 이 cDNA를 증폭시켜(PCR) 감염 여부를 확인한다. 검사 과정에서 바이러스에 노출될 위험이 있으므로 음압 장비가 갖춰진 곳에서 보호장구를 입고 진행해야 한다(관련 기사: 7일부터 확대되는 신종 코로나 진단검사…어떻게 진단하나).

안전한 검사를 위해 대한진단검사의학회와 대한임상검사정도관리협회로부터 정도 관리도 받아야 한다.

A종합병원은 내부 직원 교육 등을 마무리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부가 발표한 검사 가능 기관 명단에 포함되면서 쏟아지는 문의에 진땀을 흘렸다. 이 병원은 10일부터 신종 코로나 검사를 실시한다.

전산 시스템 미비로 검사가 미뤄진 기관들도 많다. 지난 7일 오전 9시부터 사례정의가 수정돼 신종 코로나 검사대상이 확대됐다. 하지만 의료기관들은 6일 밤에야 진단검사 처방을 위한 전산코드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으로부터 전달받았다.

의료기관들은 신종 코로나 진단검사 코드를 반영해 내부 전산 시스템을 개선해야 한다. 이 작업이 늦어진 기관들도 많았다.

불필요한 검사 요구하는 사람들 설득하느라 ‘진땀’

무작정 찾아와 검사를 요구하며 항의하는 사람들로 곤욕을 치르는 의료기관도 있다.

서울 소재 B대학병원은 선별진료소만 운영하고 있다. 의심환자가 선별진료소를 찾으면 검체를 채취해 외부 업체에 검사를 의뢰하고 있다.

이 대학병원 관계자는 “신종 코로나 검사가 민간의료기관으로 확대됐다는 소식에 검사를 해달라며 찾아오는 환자들이 있다”며 “검사가 불필요하다고 해도 검사를 해달라고 항의하는 경우가 많아 설득하는데 더 많은 시간을 할애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대학병원은 “아무런 증상도 없는데 찾아와서 신종 코로나 검사를 해 달라고 요청하는 사람들이 있다”며 “무증상인 사람은 검사를 해도 음성으로 나올 가능성이 높고 검사받을 대상도 아니라고 설득한다”고 말했다.

그는 “그렇다고 한도 끝도 없이 계속 설명하고 설득할 수는 없다. 더 시급한 환자들이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며 “검사를 받겠다고 고집을 부리면 비급여로 검사를 해주려고 한다. 비급여 진료비가 20만원 가까이 되기 때문에 그 비용을 감수하면서까지 검사를 받겠다는 사람이 얼마나 될지는 모르겠다”고 했다.

“조기진단뿐 아니라 중환자 선별 치료도 중요”

신종 코로나 진단검사 확대에 따라 방역체계에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나왔다.

대한병원협회 신종코로나 비상대응본부 이왕준 실무단장(명지병원 이사장)은 “중국 이외의 지역에서도 계속 환자가 늘어나면서 중국 입국자 폐쇄로 해결되지 않는 상태가 되고 있다”며 “지역사회 감염 단계로 옮아가는 과정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 단장은 “이는 ‘검역과 격리 중심의 방역체계’에서 ‘조기선별진단과 자기격리 및 중환자 선별치료’로 이어지는 전방위적인 방역진료체계로 이동해야 함을 의미한다”며 “다행히 주말부터 10만명 분량의 진단키트(시약)가 일선 의료기관에 풀리기 시작하고 현재 각급 병원의 선별진료소가 잘 운영되고 있다. 지역감염으로 옮겨가더라도 통제 가능한 구조로 대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분당서울대병원 감염내과 김홍빈 교수는 “진단검사가 보급됐으니 지역사회에서 발생한 환자를 빨리 발견해서 다른 사람에게 전파되는 것을 막는 것이 중요하다”며 “또 한편으로는 중증 폐렴 환자를 더 빨리 발견해서 적극적으로 치료해서 치명률을 낮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