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당서울대병원, 환자 7만4524명 대상으로 마취방법별 급성 신손상 발생 여부 및 예후 분석

마취방법과는 무관하게 수술 후 급성 신손상 위험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제공:분당서울대병원)

분당서울대병원 신장내과 김세중 교수 연구팀은 지난 2006년부터 2015년까지 10년간 병원에서 수술 받은 환자 7만4,524명 중 수술 이전에 신장 질환을 가지고 있거나 평균 혈청 크레아틴 수치가 높은 환자를 제외한 총 5만3,484명을 대상으로 수술 전 신장 기능 검사 결과와 수술 후 급성 신손상 발생 여부를 확인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수술 후에는 직접적인 수술 부위가 아니더라도 신체 전반의 기능에 관여하는 장기에 무리가 올 수 있는데, 그 대표적인 장기가 신장이다.

실제로 각종 수술을 받은 환자의 5~10%는 여러 원인에 의해 갑작스럽게 신장 세포가 손상을 받아 신장 기능이 감소하는 ‘급성 신손상(Acute Kidney Injury)’을 겪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를 조기에 치료하지 않으면 신장이 제 기능을 못해 몸에 노폐물이 쌓이고 소변 배출이 줄어들어 체내 수분균형이 깨지며 이렇게 한 번 손상된 신장은 다시 원상태로 회복되기 어렵다.

특히 급성 신손상이 발생하면 말기 신부전증(신장 기능이 정상의 10% 이하로 감소한 상태)으로 이어지거나 투석 위험도와 사망률까지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사전에 예측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며 수술 후에도 면밀한 감시가 필요하다.

이에 연구팀은 대규모 코호트연구 분석을 통해 마취방법별로 수술 후 급성 신손상 발생 위험에 대한 연구를 진행했다.

연구팀은 먼저 혈청 크레아티닌이 0.3mg/dL 이상 증가하거나 50% 이상 증가한 환자를 ‘급성 신손상 환자’로 정의하고 수술 시 전신마취를 받은 환자군(4만 1,996명)과 그 외의 마취(부위마취, 척추마취, 감시하 마취관리 등)를 받은 환자군(1만 1,488명)을 나눠 혈청 크레아티닌 수치를 통해 급성 신손상 위험 정도를 비교했다.

(자료제공:분당서울대병원)

분석 결과, 전신마취 후 급성 신손상 발생률은 전신마취 이외의 마취 후의 경우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즉, 마취종류와 무관하게 수술 후에는 급성 신손상 위험이 있다는 것이다.

또 급성 신손상이 발생하면 이후 말기 신부전증이나 사망의 위험이 같은 정도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추적이 필요함을 보였는데, 이는 전신마취 이외의 마취가 급성 신손상 발생 및 환자의 예후 면에서 전신마취의 경우보다 안전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 결과라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김세중 교수는 “전신마취가 아닌 마취방법으로 수술 시 급성 신손상이 얼마나 발생하는지에 대한 평가는 기존에 잘 알려지지 않았던 부분으로, 혈액 검사와 같이 간단한 검사를 통한 대규모 임상 자료를 재해석하고 활용한 데 이번 연구의 의미가 있다”면서 “급성 신손상은 수술 후 환자에게 소변양 감소, 부종 등과 더불어 심할 경우에는 신장투석의 위험을 높이고 사망까지 초래할 수 있기에 이러한 위험을 가진 환자의 신장 상태 및 기능에 대해서는 특히 감시와 평가가 면밀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결과는 국제 학술지 ‘메디슨(Medicine)’ 최신호에 게재됐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