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금 회수 및 자금확보 위한 IPO 증가 전망

바이오업체들의 IPO(주식공개상장)가 늘어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외형적 상장요건을 충족하기 어려운 바이오업체들의 특성상 기술특례제도를 통한 코스닥 시장 상장이나 코넥스 시장으로 우회상장을 하려는 업체들이 증가할 거라는 분석이다.

신산업투자기구협의회 한성룡 사무국장은 지난 29일 한국바이오협회 주최로 경기바이오센터에서 열린 세미나에서 "주관사인 증권회사에서 상장을 대기하고 있는 바이오 업체만 해도 각 주관사당 10곳은 된다. 상위 10개 주관사만 따져도 100곳이 상장을 기다리고 있다는 계산이 나온다"고 했다.

한 국장은 "IPO를 위해 대기하는 업체들의 경쟁률만 해도 10대 1이라고 볼 수 있는 것"이라며 "2015년에 (바이오 업종에 대한) 대규모 투자유치가 이뤄진 만큼, 상장이 어려운 여건의 업체들은 투자금 회수를 위해 코넥스 시장으로 우회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했다.

많은 업체들이 상장을 준비하고 있지만 한국거래소의 기술특례 조건 등 심사요건이 크게 완화되기 어려운 만큼 코넥스 상장 업체가 늘어날 거라고 한 국장은 내다봤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기술특례제도를 위한 기술평가를 신청하는 기업은 2012년 4곳에서 2013년 6곳, 2014년 10곳, 2016년 36곳, 2017년 26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날 한국거래소 코스닥시장본부 상장유치실 정하원 과장은 "올해 10개 이상은 기술특례제도로 상장할 것 같다"면서 "(외형조건상) 바이오기업이 상장할 수 있는 루트가 기술평가뿐이기 때문에 관련 준비를 철저히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정 과장은 상장심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주력 파이프라인을 개발하는 대표 및 연구소장의 역량을 꼽았다. 이력이나 글로벌 런칭·협력 등을 심사에 많이 참고한다고 설명했다.

또한 원천기술과 그에 대한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지 여부와 파이프라인이 확장성이 있는지, 수익창출이 가능한지도 주요 고려요소라고 전했다.

정 과장은 "상장을 위해선 3년 이후에 얼마나 이익을 얼마나 낼 수 있을 것인지 자료를 제출하게 되는데 이에 대한 근거자료가 중요하다"며 "거래소에서도 바이오 업계 특성상 수익창출을 위해선 장기간 시간이 걸리는 것을 알고 있다. 그럼에도 3년 후 이익으로 가치를 따지기 때문에 신뢰성 있는 데이터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편 기술특례제도는 기술력과 성장성이 뛰어난 유망기업이 기술평가를 활용해 코스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는 것으로, 상장은 대부분은 바이오업계에서 이뤄지고 있다. 대상은 중소기업으로, 대기업의 계열사나 외국계 업체는 제외된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