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도준 원장, 감염병‧유전체 연구 등 외국보다 연구환경 좋아…연구성과 재촉 문화 바꿔야

서울의대 교수(내분비내과) 출신 국립보건연구원 박도준 원장이 국내 젊은 연구진 양성을 위해 보건연구원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의 경우 유명 연구자를 양성해 대학으로 보내는 시스템으로, 출신 연구자가 노벨상도 받고 다양한 연구도 하고 있는데 우리도 이런 시스템을 도입해 국가 연구 역량을 강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박 원장은 최근 복지부 전문기자협의회와 만나 이같이 밝혔다.

박 원장은 “미국 국립보건연구원에서 연구원과 과학자문관으로 7년을 활동했다. 그 경험을 우리 국립보건연구원에도 심고 싶다”며 “미국의 경우 국립보건연구원 출신이 어느 정도 알려지면 유명 대학에서 스카웃하고 거기서 노벨상을 받는다. 우리도 이런 시스템이 돼야 한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국립보건연구원에 우수한 인력을 붙잡아 두는 것이 아니라 젊은 연구자를 키워서 다른 기관으로 보내는 역할을 해서 우리나라 잔체 연구 역량을 키워야 한다”며 “이런 생각에 반대하는 분들도 있지만, 이런 확장을 통해 보건연구분야 연구 질을 넓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박 원장은 “국립보건연구원의 연구시설은 해외 어디와 비교해도 손색이 없다. 이런 인프라를 활용할 필요가 있다”며 “국내 대학교수들은 안식년에 해외 대학으로 가서 연구를 하는데, 그럴 필요 없다. 감염병, 유전체 관련 연구를 하려면 차라리 국립보건연구원을 활용하라”고 제안했다.

박 원장은 이를 실현하기 위해 감염병 관련 학회와 의견을 조율하고 있다고 밝히기도 했다.

서울의대 교수 출신인 박 원장은 현재 우리나라 의학교육이 너무 임상 중심이라고 꼬집기도 했다.

박 원장은 “우리나라 의학교육은 너무 진료중심으로 돼 있다. 연구와 관련한 교육을 강화할 필요가 있으며, 국립보건연구원이 젊은 연구자를 키워내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국립보건연구원 운영과 관련해서는 눈앞의 성과보다는 꾸준한 연구를 통해 성과를 내는 시스템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국립보건연구원도 정부기관이기 때문에 성과지향성이 강하고 압박도 심하다. 국립보건연구원 내 연구인력 풀이 좋기 때문에 3~4년만 압박없이 지켜봐주면 성과를 낼 수 있다”며 “실적에 연연하지 않고 기다려준다면 2~3년 내 분명히 성과를 내 기대에 부흥하겠다”고 밝혔다.

특히 박 원장은 “원장직을 그만둬도 학교로 돌아갈 수 있는 왕복 표가 있는 사람이다. 원장직에서 물러나면 갈 곳이 없어서 꼭 성과를 내야 하는 분들과는 다르다”며 “돌아갈 곳이 있는 내가 임기 동안 든든한 버팀목이 돼 외풍을 막겠다”고 강조하기도 했다.

국립보건연구원에 대한 자부심이 큰 박 원장이지만 연구인력 중 임상겸험이 있는 의사 출신 연구원 비중이 적은 것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크다.

박 원장은 “현재 국립보건연구원 내 연구인력이 350명 정도 되는데, 그 중 의사는 4명 뿐이다. 연구에서도 진료경험이 중요한데 아쉬운 부분이다. 아무래도 공무원 급여체계다 보니 의사 출신 채용이 쉽지 않다”고 말했다.

박 원장은 “국립보건연구원에 비정규직이 너무 많다는 지적도 있는데, 이는 의료기관에 대입하면 전임의 같은 개념이라고 봐야 한다”며 “이런 지적이 인력 확보를 더욱 어렵게 한다. 젊은 연구자를 키워낸다는 의미로 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박 원장은 국립보건연구원이 민간에서 할 수 없는 다양한 연구를 책임감을 가지고 진행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원장은 “2017년부터 중장기 연구를 목표로 창의과제를 공모하고 있다. 10% 정도의 가능성을 보고 진행하는 과제들이 될 것이다. 민간에서는 절대 할 수 없는 연구들”이라며 “이처럼 아무런 이해관계 없이 국가가 필요로 하는 곳에 연구비를 투자할 것이다. 결국 국립보건연구원이 국가보건의료연구의 컨트롤타워가 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립보건연구원은 ▲감염병센터 ▲면역병리센터 ▲생명의과학센터 ▲유전체센터 등으로 구성돼 있으며, 국립중앙인체자원은행, 국립의과학지식센터, 국립줄기세포·재생센터 등의 연구인프라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최근 국가적으로 관심을 갖고 추진 중인 ‘백신 주권국가’ 실현을 위한 공공백신 개발·지원센터 설립에 착수해 올해 17억원을 시작으로 향후 5년간 650억원을 투입, 2021년 센터를 본격 운영할 계획이다.

이밖에도 정밀의료 실현 등에 필수인 유전체연구소 구축을 위한 예비타당성 조사(10년간 예산 5,000억원 투입)를 준비하는 등 국내 연구인프라 확대를 위해 노력 중이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