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협 "화답으로 실무 논의 진행하기로"
"장관 임명 전이라도 의정 대화 시작할 수도"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30일 기존 입장을 조정해 대통령실에 전달했고 실무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청년의사).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30일 기존 입장을 조정해 대통령실에 전달했고 실무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 밝혔다(ⓒ청년의사).

전공의에 이어 의대생들도 복귀를 위한 대화를 시작했다.

8대 요구안을 고수해 온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는 30일 보도자료를 내고 “조속한 사태 해결을 위해 학생들의 기존 입장을 조정해 대통령실에 전달했다”고 밝혔다. 의대협 이선우 비상대책위원장은 “이에 대한 화답으로 추후 실무적인 논의를 이어가기로 했다”고도 했다.

의대협이 제시한 8대 요구안은 ▲필수의료 정책 패키지 및 의대 증원 전면 철회 ▲의정 동수 합의체 구성 및 보건의료 거버넌스 법제화 ▲정부 책임 인정과 대국민 사과 ▲의료행위의 전문성 인정 및 환자안전 관리제도 도입 ▲필수의료 정의와 합리적 수가 체계 마련 ▲의료전달체계 정비 ▲인턴·전공의 수련환경 개선 논의 ▲휴학계 관련 공권력 철회 및 법적 근거 마련이다.

의대협은 이날 기존 8대 요구안에서 어떤 부분을 조정했는지는 공개하지 않았다. 대신 지난 주 조정된 입장을 대통령실에 전달했고 실무 협의도 이어갈 예정이라고 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와 복지부 이형훈 제2차관 임명에 대해서도 환영하며 “새 정부와 적극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하고자 한다”고 했다. 특히 이 차관에 대해 “의정협의체 운영 경험이 있는 분”이라며 “장관 임명 전이라도 의정 간 대화와 협의를 시작할 수 있다”고 했다.

정부와 소통하고 대화하겠다는 의지는 교육부 의대교육자문단 참여 결정에서도 드러났다. 의대협은 지난 26일 이 비대위원장을 비롯해 8명을 자문단 위원으로 추천했다고 밝혔다. 자문단은 의학교육 관련 사항을 장관 등에 자문하는 기구로, 의학교육 관련 기본정책이나 제도 개선 방안 등을 논의한다. 자문단은 15명 이내로 구성되며 교육부 의대교육지원관과 복지부 보건의료정책관, 의학교육계 4명, 의료계 3명, 법조계 1명, 언론계 1명, 의대생 4명이 참여한다.

의대협과 함께 대정부 투쟁을 주도했던 대한전공의협의회도 새 지도부를 구성하고 정부·국회와 적극적으로 대화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대전협은 지난 28일 오후 서울시의사회관에서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정부, 국회와 전향적인 대화가 중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했다”고 밝혔다. 대전협은 이날 임총에서 온건파로 분류되는 한성존 비상대책위원장과 새 비대위원 7명을 인준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