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성존 위원장 "의료 정상화 논의…전공의 의견 고루 반영"
與 "대화 가능성 커져…전공의 전체 의견 수렴해 제안하길"

새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으로 의정 대화가 새 국면을 맞으리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새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으로 의정 대화가 새 국면을 맞으리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사진 출처: 게티이미지).

정부와 대화 의지를 보인 전공의들을 중심으로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새로 꾸려지면서, 교착 상태에 빠졌던 의정 대화가 재개될지 주목된다.

대전협 한성존 위원장은 27일 내부 공지로 "의료 정상화를 위한 논의가 선행돼야 한다"면서 "전국 전공의 의견을 고루 반영하겠다"고 밝혔다. 대전협은 전날(26일) 온라인 임시대의원총회를 열고 새 비대위원장을 선출했다. 한 위원장은 서울아산병원 전공의 대표다.

한 위원장은 "의료 정상화 아젠다에 대한 진지한 논의가 반드시 선행돼야 한다. 이 과정에서 전공의들의 동의를 구하지 않고 성급하게 합의하려 하지 않겠다"면서 "지역 거점병원 대표를 중심으로 지역협의회 체계를 수립하고, 모든 병원의 목소리를 반영하는 구조를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또한 모든 결정 과정을 투명하게 공유하고, "비대위를 책임감 있게 운영하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현시점은 의정 갈등의 단순한 전환점이 아니라 앞으로 방향성을 함께 설계해야 하는 중대한 분기점이 돼야 한다"면서 "전공의들이 치열한 고민 끝에 내린 결정이 헛되지 않도록 하겠다. 다시는 같은 혼란이 반복되지 않도록 책임감 있게 나아가겠다"고 했다.

앞서 한 위원장은 박단 전 위원장이 정부와 대화나 협상에 제대로 임하지 않는다고 비판한 바 있다. 한 위원장 등 4개 수련병원 전공의 대표들은 박 전 위원장이 의료계 분열을 심화하고 정치권과 대화를 어렵게 만들었다면서, "이재명 정부를 상대로 건설적인 대화와 투쟁을 해야 한다"며 새 비대위 구성을 주장했다.

이같은 요구에 따라 한 위원장이 새로 구성한 대전협 비대위를 이끌게 되면서, 더 유연한 의정 협상이 가능하리란 기대가 나온다.

박주민 복지위원장 "대화 가능성과 폭 커졌다" 기대감

더불어민주당 소속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박주민 위원장은 이날 오전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나와 대전협 새 비대위 선출로 이전보다 "대화 가능성과 대화의 폭이 상대적으로 커졌다"며 이같이 말했다.

전공의 사이에서 '더 적극적인 대화와 내부 소통'을 바라는 분위기가 박 전 위원장 사퇴와 한 위원장 선출에 영향을 미쳤다면서 "이전과 다른 상황이 펼쳐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정부와 여당으로서는 앞으로 전공의들과 협상에서 "의료계 혹은 전공의 전체를 대변하면서 이들의 전반적인 의견을 수렴한 제안"이 있어야 한다고 했다. 이를 가지고 국회와 대화한 뒤 "정부를 폭넓게 만나 설득하고 대화하는 작업이 필요하다"고 했다.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를 결정한다면, 수련병원과 의대도 "이들이 들어올 수 있도록 정비돼야 한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전공의나 의대생이 내는 (복귀) 조건에도 이같은 내용이 분명히 포함될 것"이라면서 "이들의 복귀 허들을 낮추기 위한 현실적이고 물리적인 작업이 진행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다만, 전공의와 의대생 '전원 복귀' 가능성은 "판단하기 어렵다"고 했다. 박 위원장은 "의대생과 전공의마다 의견이 다르고 처한 상황이 다르다. 다른 과나 다른 대학으로 옮기려는 의대생이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거나 직장을 이미 구한 전공의 등은 여건이 마련되더라도 복귀하지 않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