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부 인사 발탁 ‘안정적 조직 운영’ 위해 최적"

30일 첫 출근하는 정은경 복지부장관 후보자 모습(사진 제공 : 복지부).
30일 첫 출근하는 정은경 복지부장관 후보자 모습(사진 제공 : 복지부).

이재명 대통령이 보건복지부장관 후보자로 정은경 전 질병관리청장을 지명한 가운데, 복지부 내부에서는 하마평으로 거론되던 인사 중 가장 최적의 인사가 발탁됐다는 분위기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정 전 질병청장을 복지부장관 후보자로 지명했다. 이를 두고 대한의사협회 등 의료계 내에서도 한 목소리로 환영 메시지가 나오고 있다. 복지부 내부 반응도 다르지 않다.

이에 대해 복지부 한 인사는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일단 장관 후보자 지명과 차관 임명이 모두 완료돼 조직 내부적으로 안정되는 분위기”라며 “그동안 각자 일을 하고는 있지만 최종 보고라인이 정해지지 않아 부담들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장·차관 인사가 모두 사실상 내부 인사들로 정해졌는데, 공무원들 입장에서는 가장 좋은 상황”이라며 “일단 기본적으로 (임명자들이 복지부라는) 조직을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조직을 이해시키는 과정을 거칠 필요가 없어 부담이 적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정 전 청장은 대선 후 가장 유력한 복지부장관 후보자로 거론됐지만 본인이 고사했다고 알려져 지명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좀 놀랐다”고 언급하기도 했다.

또 다른 인사 역시 “(임명 전) 장·차관 후보자로 외부 인사들이 많이 거론돼 내부에서도 어떤 분이 지명될 지 걱정과 기대가 컸다”며 “조직을 빠르게 이해하고 장악하는데 가장 적합한 분들이 임명된 것으로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 전 청장과 같은 날 임명된 이형훈 제2차관에 대해서도 환영하는 분위기다.

복지부 한 관계자는 “이형훈 차관 임명은 진짜 놀랐다. 2차관 임명이 늦어지고 차관 중 한명은 외부에서 올 것이란 이야기가 많아서 전혀 예상하지 못했다”며 “의정 갈등 해소가 시급한 상황에서 의정 대화를 이끈 경험이 있는 이 차관이 임명돼 기대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한편 장·차관 인사가 마무리됨에 따라 복지부 업무 추진에도 더욱 탄력이 붙을 것으로 보인다.

복지부 한 관계자는 “지난 정부에서 굵직한 의료개혁 과제들이 이미 추진 중이고 예산을 편성받은 사업들이 많아서 해당 예산 사용을 위해 각 부서가 노력 중”이라며 “받은 예산을 불용하면 나중에 문제가 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예전에는 정말 정권이 바뀌면 1호 조치가 ‘하던 사업 하지마’라며 모두 정지시키고 시작했던 적도 있지만 이번에는 그런 분위기 없이 대부분 진행하던 일을 그대로 하는 분위기”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장·차관 임명 전에도 이미 진행 중인 사업들이 많아 차분하게 업무를 진행 중이었다”며 “새 장·차관이 임명됐으니 굵직한 사업들 위주로 보고하며 더 안정감 있게 업무를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