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통 강조한 이재명 대통령에 의정 사태 해결 기대↑
"대통령 의지 확인…학사 유연화 등 구체적 대책 나와야"

이재명 대통령이 의료계와 소통하며 의정 갈등을 풀겠다는 메시지를 내면서 의료계 기대도 커지고 있다(사진 출처: 대통령실 공식 홈페이지).
이재명 대통령이 의료계와 소통하며 의정 갈등을 풀겠다는 메시지를 내면서 의료계 기대도 커지고 있다(사진 출처: 대통령실 공식 홈페이지).

이재명 대통령이 의정 갈등을 풀고 의료계와 소통하겠다는 의지를 밝히면서, 새 정부 출범 이후 의료계와 의대생 사회를 감싼 초조감이 누그러질지 주목된다. 대학 현장은 선언에 그치지 않고 구체적 실행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이 대통령은 3일 오전 취임 30일을 맞아 개최한 첫 기자회견에서 의정 갈등 관련 질의에 "의대생이 2학기에 복귀할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상황을 만들어야 한다"면서, 정부와 의료계가 빠른 시일 내 대화해야 한다고 답했다.

이 대통령이 의정 갈등 국면에 대해 공개적으로 거론한 것은 취임 후 처음이다. 그간 대통령과 정부가 뚜렷한 현안 대응 메시지를 내놓지 않아 의료계 우려를 샀다. 의대생과 교수 사회 기대와 달리 정권 교체가 '6월 중 복귀'로 이어지지 않았고, 학사 유연화 요청도 수용되지 않았다. 이 때문에 교육부·보건복지부 장차관 인선에 기대를 거는 한편, '바뀐 게 없다'는 불만이 만만치 않았다. 여당인 더불어민주당 내에서 "전 정부에서 이미 줄 수 있는 특혜는 다 줬다"는 지적이 나온 점도 불안감을 키웠다.

그러나 이날 이 대통령이 "신뢰를 회복하고 대화를 충분히 하며 필요한 영역에서 타협하면 (의정 갈등도) 충분히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며 갈등 해소를 강조하면서, 의료계 우려도 일정 부분 불식됐다는 반응이 나온다.

교수들은 대통령 발언처럼 "정부가 의학 교육 정상화에 직접 나서야 한다"고 했다. 대한의학회 등 의학계와 교수 단체에서 제시한 대안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길 요청했다.

익명을 요구한 수도권 의대 A 교수는 청년의사와 통화에서 "그간 정부가 움직이지 않아 대학 차원에서 대응책 마련에 한계가 많았다"며 "복귀를 확신하지 못하던 대학과 의대생들을 북돋울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감을 표했다. 지방 의대 비상대책위원회 출신 B 교수는 "대학도 교수 사회도 더 이상 할 수 있는 게 없다고 무력했고, 의대생들도 '돌아가고 싶지만 지금은 돌아갈 수 없다'고 불안했다"며 "대통령 의지를 확인했으니, 정부도 이달 중 학사 유연화를 비롯해 의료계가 제안한 의대 교육 정상화 방안을 실행에 옮기길 바란다"고 했다.

또 다른 수도권 의대 C 교수는 "단기적으로 학사 유연화는 물론이고, 중장기적으로 교육 기초를 다시 세우는 종합적인 정책이 나오길 바란다"며 "'솔직하게 토론하자'는 이 대통령 발언처럼 정부와 의료계, 대학이 소통하며 함께 대책을 마련할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의대생들도 이 대통령 발언을 반겼다. 새로운 조정안을 전달하며 새 정부와 대화하겠다고 한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의대협)에 대통령이 응답한 것으로 받아들였다. 의대생 사회가 최근 수업 복귀 의사를 더 적극적으로 표한 만큼, 정부도 부응하길 기대했다.

수도권 의대를 다니는 D씨는 "학사 유연화는 사태 해결을 위한 최소한의 요청이다. 정부가 의학 교육 정상화 차원에서 대승적으로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또 다른 수도권 의대 재학생 E씨도 "오늘 대통령 발언에 이어 구체적인 대책이 나와, 그간 대통령이 의료계 투항만 기다린다는 오해가 사라지길 바란다"고 했다. 충청권 의대 재학생인 F씨는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의대생 수업 복귀를 위한 정부 노력을 강조해 고무적이다. 의료계 태도 변화에 상응하는 조치가 빠르게 실행되길 바란다"고 했다.

한편, 대한의사협회는 이날 오후 3시 김택우 회장이 직접 입장문을 발표할 예정이다. 대통령 메시지에 화답하고 의료계 요구사항을 다시 강조할 것으로 보인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