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와 의정 대화 언급했지만 추가 메시지는 안 나와
'단일대오' 강조한 박단 위원장 "아직 복귀할 때 아냐"
의정 갈등이 전환점을 찾지 못하면서 의료계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는 정부 인선이 마무리될 때까지 기존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공의가 자체적으로 현장 복귀를 모색하고 있지만, 대한전공의협의회 차원의 복귀 논의도 당분간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협 김택우 회장은 23일 의료정책연구원 정책포럼에 참석해 "의학 교육 파행이 1년 반 이상 이어지고 있다"면서 "의협은 새 정부와 대화의 장을 조속히 마련하고 사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번 포럼은 '미래 의학 교육, 전공의 교육의 방향 모색'을 주제로 열렸다.
김 회장은 이번 포럼에서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제안이 나오길 바란다면서, "의협은 항상 전공의 입장에 대해서도 귀를 기울이고, 더 나은 수련 환경을 만들기 위해 국회, 정부 관계자와 관련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이날 내부 공지로 "새 정부와 전향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방향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전협 차원에서 전공의 수련 재개를 검토할 시기는 아니라고 했다. 정부 측 책임자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이유다. 의협은 그간 의정 대화가 늦어진다는 우려에 대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등 관계 부처 인사가 마무리된 뒤 대화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의협 부회장인 박 위원장도 이러한 입장에 동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정이 구체적인 메시지를 내지 않는 것을 두고도, 박 위원장은 정부와 여당이 의료 사태 해결을 후순위로 미뤘고, 야당인 국민의힘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봤다.
이런 상황에서 "당장 복귀 여부를 결정하거나 서둘러 기한을 정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지금은 "내부 질서를 굳건히 지킬 때"이지, "성급한 판단으로 구성원 간 신뢰와 전체 질서를 해칠 때가 아니"라고 했다. 복귀 특례는 "내부 갈등만 부추기고 여론을 악화시킨다"고 했다.
한편, 이날 공개된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 명단에서 교육부와 복지부는 제외됐다. 교육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의료계가 요구하는 의대 학사 유연화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관련기사
- [단독] "기다릴 수만 없다" 전공의들, 조건부 '9월 복귀' 움직임
- 의협 "정권 바뀌어도 책임은 짚어야…정부 사과 必"
- 교육부 “의대 학사 유연화 없다” 선그어
- "이재명 정부, 의료 정상화 의무 회피 말라" 대책 요구 빗발쳐
- 출구 못 찾는 의정 갈등…"이재명 정부에 '요구' 아닌 '답' 보여줄 때"
- 의학계 원로 "의대 정상화, 정부가 해주길 기다리면 안 돼"
- 의학한림원 "교육 정상화 마지막 기회…의대생 복귀를" [전문]
- "의대생·전공의 벼랑 끝인데…언제까지 정부에 기댈 건가"
- "이재명 정부, 醫와 의료정책 사전 협의하며 신뢰 쌓아야"
- 의대교수협 “신임 복지부·교육부 장관 의정 갈등 해소 나서야”
- [기자수첩] 더 이상 대한의사협회가 궁금하지 않다
- 의료대란 해결 첫발은 ‘책임자 문책’?…"신뢰 회복 위해 불가피"
- 의협 "의료 사태 해결 최우선…이재명 대통령과 소통 기대"
- 이재명 대통령 시대, 의대생·전공의는 돌아올까
- 이재명 대통령에 기대 거는 의대생들…"복귀 길 열어주길"
- "전공의 복귀? 지금은 아냐"…대선 이후 차기 정부에 '승부수' 던질 듯
- 대전협 박단 비대위원장 “실망만 안겨” 사퇴 의사 밝혀
- 전공의 ‘단일대오’ 무너지나…복귀 협상 요구 커져
- 박단 물러난 대전협…임총서 ‘협상’ 방점 찍힌 비대위 구성되나
- 대전협 새 집행부 구성 움직임에 정치권도 ‘촉각’…대화 물꼬 트일까
- 장관 인선 의정갈등 국면 전환될까…"인적 교체로 대화 동력 생길 것"
- "돈으로도 못 푸는 문제 만든 尹정부"…정치권, 전공의 복귀 해법 논의
- 박단 여파 의협으로…전공의 임원 4명 전원 사퇴 의사 밝혀
- 조규홍 장관 “전공의들에게 미안한 마음” 재차 사과
- 정은경 후보자에 의료계 “진심 환영”…의정갈등 해소 ‘신호탄’?
- 성분명처방·검체수탁 대응 임총 열리나…"대책 시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