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정부와 의정 대화 언급했지만 추가 메시지는 안 나와
'단일대오' 강조한 박단 위원장 "아직 복귀할 때 아냐"

대한의사협회는 의료 정상화에 대한 기존 입장을 다시 밝혔다( ⓒ청년의사).
대한의사협회는 의료 정상화에 대한 기존 입장을 다시 밝혔다( ⓒ청년의사).

의정 갈등이 전환점을 찾지 못하면서 의료계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는 정부 인선이 마무리될 때까지 기존 입장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 일부 전공의가 자체적으로 현장 복귀를 모색하고 있지만, 대한전공의협의회 차원의 복귀 논의도 당분간 없을 것으로 예상된다.

의협 김택우 회장은 23일 의료정책연구원 정책포럼에 참석해 "의학 교육 파행이 1년 반 이상 이어지고 있다"면서 "의협은 새 정부와 대화의 장을 조속히 마련하고 사태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했다. 이번 포럼은 '미래 의학 교육, 전공의 교육의 방향 모색'을 주제로 열렸다.

김 회장은 이번 포럼에서 사태 해결에 도움이 될 제안이 나오길 바란다면서, "의협은 항상 전공의 입장에 대해서도 귀를 기울이고, 더 나은 수련 환경을 만들기 위해 국회, 정부 관계자와 관련 사항을 논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대한전공의협의회 박단 비상대책위원장 역시 이날 내부 공지로 "새 정부와 전향적으로 대화하고 소통하는 방향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대전협 차원에서 전공의 수련 재개를 검토할 시기는 아니라고 했다. 정부 측 책임자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는 이유다. 의협은 그간 의정 대화가 늦어진다는 우려에 대해 교육부와 보건복지부 등 관계 부처 인사가 마무리된 뒤 대화를 시작하겠다는 입장을 고수해 왔다. 의협 부회장인 박 위원장도 이러한 입장에 동의하는 것으로 보인다.

당정이 구체적인 메시지를 내지 않는 것을 두고도, 박 위원장은 정부와 여당이 의료 사태 해결을 후순위로 미뤘고, 야당인 국민의힘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고 봤다.

이런 상황에서 "당장 복귀 여부를 결정하거나 서둘러 기한을 정할 필요는 없다"고 했다. 지금은 "내부 질서를 굳건히 지킬 때"이지, "성급한 판단으로 구성원 간 신뢰와 전체 질서를 해칠 때가 아니"라고 했다. 복귀 특례는 "내부 갈등만 부추기고 여론을 악화시킨다"고 했다.

한편, 이날 공개된 11개 부처 장관 후보자 명단에서 교육부와 복지부는 제외됐다. 교육부는 이날 브리핑에서 의료계가 요구하는 의대 학사 유연화 계획은 없다고 선을 그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