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 갈등 해소를" 지역醫, 잇따라 호소문 발표
서울시내과醫 "전 정부 정책 원점 재검토" 촉구

서울시내과의사회는 22일 정기총회 겸 춘계학술대회에서 정부에 의정 갈등 해결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청년의사)
서울시내과의사회는 22일 정기총회 겸 춘계학술대회에서 정부에 의정 갈등 해결을 촉구하는 결의문을 채택했다(ⓒ청년의사)

정부의 의료 정상화 메시지가 늦어지면서, 의료계 비판 수위도 높아지고 있다. 새 정부가 사태 해결을 회피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가운데, 의대생과 전공의 복귀를 위해 유연한 학사 운영과 수련 제도 개선을 약속하라는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서울시내과의사회는 22일 롯데호텔서울에서 열린 정기총회 겸 춘계학술대회에서 채택한 결의문을 통해 "지난 정부 의료 정책을 원점 재검토하고 의료대란 해결에 온 힘을 쏟으라"고 요구했다.

서울시내과의사회는 "새 정부는 한국 의료를 후퇴시킨 의료대란을 해결하고 일차의료가 주가 되는 의료개혁을 추진하라"면서 "국민 건강을 위협하고 인기영합주의로 흘러가는 정책이 아니라, 국민 건강 증진을 최우선으로 하는 분야에 아낌없이 투자해야 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앞으로 의료 정책은 사회경제적 변화를 고려하고, 의료계와 충분히 협의해 수립해야 한다"면서 "정당성 없는 독불장군식 정책 추진은 처절한 실패를 불러올 것"이라고 했다.

전라남도의사회는 지난 20일 공개한 호소문에서 "새 정부는 정치적 책임을 더 이상 회피하지 말고, 의료 파국을 멈추겠다는 결단을 내리라"고 촉구했다. 이재명 정부는 지난 2020년 전임 문재인 정부가 맺은 9.4 의정합의를 따를 의무가 있으며, "국민을 기만하고 정책 연속성을 부정하는 무책임한 정치를 해선 안 된다"고 했다.

전북특별자치도의사회도 이날 "주무 부처인 보건복지부와 교육부가 여전히 사태 해결에 소극적"이라면서 "의료계가 수용할 수 있는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 정부와 여당의 의무"라고 지적했다. 이달로 의학 교육 정상화 '골든타임'이 끝난다면서 "당정은 사태를 직시하고 의료계와 함께 정상화의 길로 나아가야 한다"고 목소리 높였다.

같은 날 충청북도의사회도 "의료 문제 (해결)이 가장 시급하다"며 의학 교육 정상화와 사직 전공의 복귀 방안을 마련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는 "단순한 밥그릇 싸움이 아니라 필수의료를 살려달라는 마지막 외침"이라면서 "정부는 잘못된 악습을 과감히 철폐하고 미래지향적이며 건실한 의료 체계를 구축해 달라"고 당부했다.

대구광역시의사회는 "지금이라도 정부가 의료계와 마주 앉아야 한다"고 했고, 광주광역시의사회 역시 "정부는 의료계와 대화하고 사태 수습에 나서라"고 했다. "의료 사태 책임자인 복지부 장차관도 즉각 교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