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생 개인 결정 존중" 입장 재확인
"돌아가도 정상 수업 가능한지가 중요"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의 2026학년도 의대 모집 인원 동결이 의정 갈등을 해소하고 '정상화'로 가는 시작이라 보면서도 의대생 수업 복귀와는 구분 지었다.
의협 김성근 대변인은 17일 정례 브리핑에서 이번 정부 결정이 의대생 복귀로 이어지리라 보느냐는 질문에 "의대생 복귀는 전적으로 당사자 의대생 본인이 판단해 (결정)하는 것"이라면서 "의협은 의대생 본인의 결정을 존중하겠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의대생 복귀는 "당사자 스스로 (대학에 돌아가) 수업을 제대로 들을 수 있는 환경이라고 보는지가 중요할 것 같다"면서 "아직 각 대학이 의대생들에게 확정적인 믿음을 주지 못하는 게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는) 가장 큰 요인이라 본다"고 했다. 의대생이 "(이대로면 정상 수업은)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다고 생각해 유급을 선택한다면 의협이 (그 선택이) 잘못됐다고 할 수는 없다"고 했다.
김 대변인은 "오늘(17일) 2026학년도 모집 인원 동결이 확정됐다. (의협으로서는) 이번 결정으로 조금씩 (사태가) 풀려가고 있다, (정상화로) 한 걸음 나아갔다고 평가하지만 당사자인 의대생이 이를 어떻게 받아들일지는 의협 차원에서 판단을 내리기는 어렵다"고 했다.
다만 "의협은 의대생이 피해를 보지 않길 바란다는 것이 기본 입장"이라면서 "(인원 동결 결정이) 늦었지만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르다는 말도 있다.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시간이 많이 남지는 않았다. 이제부터라도 (문제 해결이) 빠르게 진행돼 의대생이 수업 현장으로 조속히 돌아올 수 있길 바란다"고 했다.
관련기사
- "26학번부터 수강신청, 편입 충원"…대학들, 의대생 수업 거부 대책 고민
- 전공의 수련 붕괴 연쇄 파장…“의대 교육도, 병원 유지도 힘들어”
- '도로 3058명' 의협 "만시지탄, 다른 정책도 중단해야"
- 교육부 의대 모집인원 동결에 복지부 심기 불편?…"안타깝다"
- 교육부 "2026년만 3058명"…2000명 증원 철회는 없어
- “尹 떠났지만 한국 의료 붕괴 직전…회복 아닌 재건 필요”
- 교육부, 수업 거부 의대생 유급 처분 “이번만큼은 원칙 지켜야”
- 대규모 유급 현실되나…의대 학장들 “학생들 수업 참여해야”
- 내부 결집 강화하는 의협 “이제 선배들이 나설 차례”
- 이번엔 유급 사태…교육부 "만나서 논의하자" 의대협 면담 제안
- 尹 떠났는데 "달라진 게 없다"…전국 의사들 "政, 대화 나서라"
- 환자·시민사회단체 "내년 의대 정원 동결 철회하라"
- [기자수첩] 전공의 없는 수련환경 개선은 ‘무용지물’
- 의대생 만난 이주호 부총리 “교육 질 훼손 없도록 하겠다”
- 의협 “복귀는 의대생·전공의 판단…특례 요청 계획無”
- 의협 “의대생 복귀 노력하겠다” 유급 처분 중단 촉구
- 의협 "의대생 유급·제적 즉각 철회…아니면 실력 행사"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