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협, "긴밀한 협업체계 구축, 비상상황 발생 시 컨트롤 타워 대응지침 분명히 해야"


[청년의사 신문 김은영]

국내 에볼라 의심환자 후송과 관리체계가 미흡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대한의사협회는 지난 19일 ‘에볼라 바이러스병 대응 좌담회’를 열고 에볼라 발생지역인 서아프리카 3국과 인접지역에 있는 카메룬 보건당국 관계자를 초청해 에볼라 차단을 위한 전략과 정책적 경험에 대한 의견을 나누는 자리를 마련했다.

의협에 따르면 카메룬은 전국 주요 병원 의료진 700명 이상에서 에볼라 보건안전관리 훈련을 이수토록 했으며, 의심환자 발생 시 즉각적인 이송과 대응할 수 있는 'Rapid Intervention Team(RIT, 에볼라 긴급대응팀)'을 전국적으로 조직해 대비하고 있다.

카메룬은 에볼라 발생 국가를 방문한 모든 자국민을 대상으로 21일 동안 집에서 자가 격리를 의무화하는 지침을 시행하고 있으며, 의료진을 포함한 관리담당자가 방문하거나 전화를 이용해 매일 상태를 점검·관리하고 있다.

또 카메룬 입출입 공항에서는 아프리카 전 지역 입국자들을 대상으로 건강신고서를 작성해 의심증상은 없는지 확인하고 입국심사 시 열감지카메라로 촬영하는 등 에볼라 유입차단을 위한 검역관리에 힘쓰고 있다.

특히 카메룬의 경우 민·관 협력강화를 통한 강력한 감염감시 체계 구축이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는 게 의협 측 설명이다.

이에 국내에서도 에볼라 감염 지역에 의료진을 파견하는 만큼 전국 단위의 에볼라 긴급대응팀 조직은 물론 공공의료기관 중심의 진료체계 확립이 조속히 필요하다는 것이다.

추무진 회장은 “위험지역 여행객 등에 대한 우리나라의 관리감독 체계가 허술해 이를 언론에서 여러 차례 보도했다”며 “정부 모든 관계당국과 보건의료전문가 간 더욱 긴밀한 협업체계를 구축하고 비상상황 발생 시 컨트롤 타워와 대응지침 등을 분명히 해야 한다”고 말했다.

추 회장은 “의료인들을 대상으로 한 교육이 매우 중요하며 카메룬의 경험에 비춰 볼 때 숙달되기까지 반복적 훈련이 포인트”라면서 “충분한 안전보호장비가 지급돼야 하며 교육훈련도 좀 더 실질적으로 실시해야 한다”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도 에볼라 환자를 직접 진료하는 의료진을 파견할 예정인 만큼 카메룬의 국가전략을 배워 안전대책을 확실히 세워야 한다”고도 했다.

한편, 의협은 에볼라 위기상황 대응을 위해 ‘국민건강보호위원회 신종감염병 대응 TFT’를 조직·운영해 관련 학회 등 전문가들과 긴밀히 소통하고 있다.

의사회원 및 국민들에게 에볼라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알리기 위해 ‘에볼라 동향보고’를 지속적으로 온라인을 통해 공개하는 등 교육과 홍보에 앞장서고 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