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의대 비대위 "정권 이익 위해 의대 교육 수준 희생"

기존 입장을 고수한 대통령 담화에 서울의대 교수들이 실망감을 드러냈다(ⓒ청년의사).
한국의학교육평가원 평가에 개입하려는 교육부 움직임에 서울의대 비대위가 반발했다(ⓒ청년의사).

교육부가 2025학년도 증원 의대의 교육 환경 평가에 개입하려 해 교수 사회가 반발하고 있다.

의료계에 따르면 교육부는 지난 19일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의 주요 변화 평가를 두고 평가 계획을 교육부 산하 인정기관심의위원회에서 심의하겠다고 밝혔다. 심의 과정에서 의평원에 평가 계획 보완이나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관련 기사: 교육부, 이번엔 의평원 '증원 의대 평가'만 사전심의 요구…왜?).

이같은 사실이 알려지자 교수들은 의대 증원을 밀어불이고자 의대 교육 질을 포기하는 셈이라고 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는 23일 보도자료를 내고 "교육부가 정권의 이익을 위해 의대 교육 수준을 희생시키려 한다"면서 의평원 심의 계획을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의평원은 그간 한국 의학 교육의 국제적 수준을 담보해 왔다"면서 "의학 교육 분야 전문가도 아닌 교육부가 갑작스럽게 의평원 평가를 심의하려는 의도는 무엇이냐"고 했다.

여기에 지난 7월 교육부가 발표한 '의대 학사 탄력운영 가이드라인'을 들어 정부가 "의대 질 저하를 강요하고 있다"고 했다. 이 가이드라인에 따르면 복귀 의대생은 F학점을 받아도 유급되지 않는다. 당시 의학 교육계는 정부가 나서서 질 낮은 교육을 권한다고 반발했다.

서울의대 비대위는 "국민의 건강과 생명을 다룰 자격을 갖춘 의사를 키우려면 의대 교육은 높은 수준을 유지해야 한다"면서 "어떠한 압력이 있더라도 지금까지 그래왔듯이 충분한 자격을 갖춘 학생만이 의대를 졸업하도록 하겠다"고 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