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위 20%는 85.14세, 하위 20%는 78.55세로 6.59세 차이 보여

소득이 높을수록 더 오래 사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편차는 최근 5년간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민주당 인재근 의원은 보건복지부의 관련 자료를 공개하며 이같이 밝혔다.

인 의원에 따르면 2015년 기준 한국의 기대수명은 82.1세이며 성별로는 남성 79.0세, 여성 85.2세였다.

소득분위별로는 상위 20%의 경우 85.14세, 하위 20%는 78.55세로 약 6.59세의 차이를 보였으며, 이러한 추세는 5년인 전 6.10세(상위 83.54, 하위 77.44) 보다 다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기대수명(2014, 3년 주기 조사)은 서울이 83.0세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이어 경기 82.2세, 제주 82.1세, 대전 82세, 인천․광주․대구․전북이 81.4세 순이었다.

기대수명이 가장 낮은 지역은 울산으로 80.7세로 가장 높은 서울과 약 2.3세의 편차를 보였지만 기대수명 편차는 점차 완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기대수명이 가장 높았던 지역은 81.1세의 서울, 가장 낮은 지역은 78.4세의 부산으로 두 지역 간 약 2.7세의 편차를 보였으며, 다음 조사 시기인 2011년에는 서울 82.0세, 경북 79.6세로 약 2.4세의 편차를 보였던 것으로 확인됐다.

기대수명의 증가율은 전북과 부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8년 전북과 부산의 기대수명은 각각 78.8세, 78.4세였으나 2014년에는 각각 81.4세, 81.0세로 약 2.6세 증가했다.

기대수명이 가장 적게 증가한 지역은 제주로 2008년 80.7세에서 2014년 82.1세로 약 1.4세 증가했다.

기대수명이 가장 높은 서울의 경우 2008년 81.1세에서 2014년 83.0세로 약 1.9세 증가해 제주 다음으로 낮은 증가율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의 기대수명(여성기준, 85.2)은 OECD 주요국가 중 일본(87.1), 스페인(85.8), 프랑스(85.5) 다음 순위인 것으로 확인됐다.

인 의원은 “의료기술 발달, 영양정보 확산 등으로 한국의 기대수명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전망"이라며 "대한민국의 건강한 노후를 위해 소득별․지역별 기대수명 편차 해소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어 “정부와 지역사회는 물론 기업과 시민사회단체 등도 함께 노력해야 한다. 특히 정부는 소득수준에 따라 기대수명이 차이를 보이는 이른바 ‘수명 양극화’해소를 위해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