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사과 이어 일각 '단축 수련 요구'와도 선 긋기
'집단행동 재발방지법'에는 신중…"또 다른 규제 안 돼야"
전공의와 환자 단체가 마주 앉으면서 의료 정상화 과정에 새로운 전환점이 마련될지 관심이 집중된다. 특히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의정 갈등 장기화에 사과하면서, 수련 재개를 둘러싼 특혜 시비 등 그간의 논란을 돌파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대전협 비대위는 28일 한국환자단체연합회를 방문해 간담회를 갖고 의료 현안과 전공의 수련 재개에 대한 입장을 교환했다. 한성존 비대위원장이 모두 발언에서 의정 갈등 장기화와 의료계 일각의 부적절한 행태에 사과했다. 이어진 회의에서는 사과를 계기로 오해를 풀고 소통하자는 쪽으로 의견이 모아졌다. 양측은 이르면 오는 8월 중 한 차례 더 만나 전공의 수련 관련 현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간담회 후 언론 브리핑에서 대전협 비대위 정정일 대변인은 "그간 전공의에게 요구됐던 사과 표명이나 의료 공백 재발 방지 약속, 수련 재개를 둘러싼 논란에 대한 의견을 전달하고 함께 이야기 나눴다"면서 "향후에도 정기적으로 만나 현안을 두고 대화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정 대변인은 "지난해 윤석열 정부가 행정명령을 동원해 전공의 사회를 압박하고, 신분이 드러난 전공의 대표들은 경찰 소환조사를 받아야 했다. 전공의 개개인이 목소리 내기 어려운 환경이었다"면서 "이런 상황에서 익명 온라인 커뮤니티의 일부 극단적인 발언이 마치 전공의 전체 의견처럼 다뤄져 아쉽다"고 했다.
정 대변인은 "전공의가 환자와 국민을 생각하는 마음은 결코 그렇지 않다. 사직서가 수리된 이후로도 계속 진료 현장에서 일한 전공의들도 있고, 무거운 마음으로 사태를 지켜본 이들이 많다"고 설명했다.
대전협 비대위가 요구하는 수련 환경 개선과 수련 연속성 보장을 '특혜성 조치'와 연결하는 시각에도 선을 그었다. 환자단체연합은 전공의 수련 재개 논의를 앞두고 특혜성 조치에 반대한다며 지난 22일부터 국회 앞에서 시위를 진행하고 있다.
정 대변인은 "단축 수련이나 입영 연기, 추가 전문의 시험 시행 같은 사안은 현 비대위 출범 전 일부 전공의 사이에서 나온 이야기로 안다. 이에 대해 비대위가 입장을 낸 적도 없다"며 "비대위는 수련 환경 개선을 요청하고 있다. 양질의 수련을 바라면서 단축 수련을 요구한다는 것은 모순적인 이야기다. 이같은 요구는 대전협 비대위의 공식 입장이 아니다"라고 분명히 했다.
환자단체연합이 추진하는 '환자보호 3법'에 대해서는 "취지는 이해한다"고 했다. 환자보호 3법은 '환자기본법안', '의료대란 피해보상 특별법안', 환자피해 의무조사 관련 '보건의료기본법 개정안'이다. 환자단체연합은 특히 의료대란 피해보상 특별법안을 제정해 의료계 집단행동으로 인한 의료 공백을 방지하고 환자 피해를 구제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정 대변인은 "전공의들 역시 이같은 사태가 재발하길 바라지 않는다"면서도 "이를 제도화하는 과정에서 또 다른 규제가 되지 않을지 신중하게 접근해야 한다"고 했다.
환자단체연합 안기종 대표는 "1년 5개월 만에 환자와 전공의가 마주 앉았다는 점에서 의미 있는 시간이었다. 오늘 간담회에서 한 위원장이 국민에게 사과한 점도 의미가 크다. 좀 더 빨리 만나 대화를 나눴으면 좋았을 것"이라면서 "그간 서로 오해가 있었다. 앞으로 직접적인 소통이 있길 바란다"고 했다.
전공의 '특혜'에 대해서는 "전공의들이 요구하는 사안에 대해 간담회에서 자세한 이야기를 들었기 때문에 단체 내부에서도 논의해 봐야 할 것 같다"면서 "이제부터가 시작이라고 생각한다. 조만간 입장을 정리해서 내겠다"고 말을 아꼈다.
관련기사
- 대전협 "'무조건 복귀' 논의 없어…'특혜' 아닌 신뢰 회복 초점을"
- "국민께 거듭 사과"에도 의대생·전공의 특혜 논란…고민 빠진 의료계
- 대전협 '대국민 사과'… "의정 갈등 장기화로 국민 불편·불안"
- 교육부 “잃어버린 1년 반, 의대생 상처 보듬어야” 특혜 논란 진화
- 특혜 논란에 의대 교수들 “정상화 위한 불가피한 조치”
- [칼럼] 국민 밉상 자초한 의사들…썩은 부분 도려내자
- 전공의 새 요구안에 환자단체 반발…“특혜 안 된다” 국민청원도
- 청문회서 떠오른 醫 내부 갈등…14시간 마라톤 끝에 ‘파행’
- 박주민 "윤석열식 '학사 유연화' 없다…전공의 사직 '징계감' 아냐"
- 박주민 복지위원장 “의대생 복귀가 특혜? 교육 총량·질 낮추지 않는다”
- 환자·시민단체 “의대생 복귀 환영하지만 특혜는 안 돼”
- 돌아가도 '다른 과, 다른 병원으로'?…복잡해진 전공의 정원 셈법
- [기획] 다시 수련 꿈꾸는 전공의들…'전원 복귀'·'특혜'가 가린 문제들
- 민주당 “대전협 사과, 잘한 일…수련환경 개선으로 의료 질 제고”
- 9월 전공의 수련 재개…입영 문제 등은 의견 조율 필요
- "의대생 사과하라? 의정 사태 왜 일어났는지 잊지 말아야"
- 의·병협 “수련환경 개선 등 의료 현안 공동 대응”
- 전공의 수련시간 단축, 핵심은 ‘인력 충원’…재정 부담은 누가?
- 미필 전공의, 수련 이어갈 수 있나…병무청 “입영 유예 방안 협의 중”
- 전공의도, 교수도 내상 깊은 수련 현장…"회피 말고 직시할 때"
- 환자단체 안기종 대표 “허위사실로 명예훼손” 임현택 전 회장 고소
- 의대생 돌아갔지만 교육 현장은 “엉망”…학부모들, 특별 감사 요구
- '재신임' 시험대 오른 대전협 비대위 "사태 전환점 앞둬" 지지 요청
- "의정 갈등 끝이니 전공의 모두 복귀하라?…수련 재개 요건 갖춰지길"
- 의협 "고난 감내 국민께 송구…의료 정상화 노력 지켜봐 달라"
- "전공의는 기계 아니다, 전공의법 개정하라"…전공의노조 출범
- 2년 만에 새 회장 뽑는 전공의들…대전협, 선관위원장 선출
- 대전협, 차기 회장 선출 절차 착수…25일부터 후보 등록
- 전문학회 반반으로 갈렸지만 의학회 ‘先시험 後수련’ 추진키로
- 유례없는 ‘先시험 後수련’…내과학회 “난이도 조정 없다”
- 이젠 대전협 회장으로…한성존 "꼬인 매듭 풀겠다" 현안 해결 약속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