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협 비대위 재신임 18일 임총서 92.2% '찬성' 가결
"지역·중증·핵심의료 수련 재개, '3대 요구안' 이행돼야"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임시대의원총회에서 92.2% 지지로 재신임받았다(ⓒ청년의사).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가 18일 임시대의원총회에서 92.2% 지지로 재신임받았다(ⓒ청년의사).

전공의들이 대한전공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를 92.2% 지지로 재신임했다. 전공의 수련 재개를 넘어 수련 환경 개선과 중증·핵심의료(필수의료) 재건 대책을 마련하라는 전공의들 요구가 더 탄력받을 것으로 보인다.

대전협 비대위는 18일 용산 대한의사협회관에서 열린 임시대의원총회에서 비대위 활동 인준과 재신임 안건이 출석 대의원 103단위(전체 177단위) 중 95단위가 동의해 찬성 92.2%로 가결됐다고 밝혔다. 반대는 2단위, 기권 6단위였다.

높은 지지 속에 재신임받으면서, 대전협 비대위는 전공의 3대 요구안 이행에 집중할 계획이다. 오는 21일 열리는 보건복지부 수련협의체 제4차 회의에도 이날 임총에서 나온 대의원과 회원 의견을 전달할 예정이다.

한성존 비대위원장은 "그간 논의는 이번 하반기(9월) 모집에 초점이 맞춰졌다. 앞으로는 수련 환경 개선 등 3대 요구안 이행 방안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겠다. 기존에 입대한 사직 전공의의 수련 연속성 보장 문제도 계속 다루겠다"고 했다.

한 비대위원장은 "수련협의체에서 어느 정도 논의가 이뤄졌더라도 절차상, 행정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가 남아 있다. 수련 재개 이후에도 변화한 수련 환경 대응이나 진료지원인력(PA) 문제 등 업무 관련 현안이 산적해 있다"면서 "대전협 비대위는 이런 문제를 해소하는 데 집중하겠다"고 했다.

비대위 활동 종료 시점과 새 집행부 구성 시기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 정정일 대변인은 "구체적으로 이를 논할 적절한 시기가 올 것"이라면서도 "이번 모집 결과를 포함해 향후 흐름을 좀 더 지켜봐야 할 것 같다"고 했다.

수련 재개 고민 계속…"3대 요구안 이행 중요"

대전협 비대위는 지역, 중증·핵심의료 분야 전공의 수련 재개를 위해서라도 전공의 3대 요구안 이행이 중요하다고 했다(ⓒ청년의사).
대전협 비대위는 지역, 중증·핵심의료 분야 전공의 수련 재개를 위해서라도 전공의 3대 요구안 이행이 중요하다고 했다(ⓒ청년의사).

이번 하반기 모집을 통한 수련 재개는 전공의 개인 선택에 달렸다고 했다. 일각에서는 의정 갈등이 마무리 수순에 들어갔다고 보고 "이번에 (전공의 전원) 수련 재개해야 마땅하다"고 주장하나, 대전협 비대위를 포함해 전공의들은 "여전히 수련 재개 여부를 치열하게 고민하고 있다"고 했다. "수련 재개를 결심할 만한 여건이나 기준도 전공의마다 다르다"는 것이다.

중증·핵심의료 분야는 복귀율이 저조하리란 예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의료 소송 부담 해소를 요청한 이번 '3대 요구안' 이행이 (중증·핵심의료 분야) 수련 재개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수도권 지원 쏠림이 심화될 거란 우려에 대해서도 "지역의료 문제는 임시방편이 아니라 근본적인 해결책이 필요하다"며 "이번에 구성한 지역협의회를 중심으로 지역 전공의 의견을 충분히 수렴해 정부와 정치권에 전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했다.

한 비대위원장은 "지역 수련병원의 중증·핵심의료 분야 전공의들은 수련을 재개할 여건이 아직 갖춰지지 않았다는 의견이 많다. 비록 이번 모집에는 응하지 않더라도 앞으로 논의 과정에서 신뢰를 회복하고 이들이 수련 현장으로 돌아올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길 기대한
다"고 했다.

정 대변인은 "바이탈과 지원 (저조) 문제가 단시간 내 돌연 해결될 거라고 생각하지 않는다. 공론화 단계를 거쳐야 하는 것은 물론 부침이 심하리라 예상된다. 이들이 꿈을 이어나갈 수 있도록 정부와 국회의 속도감 있는 대책 추진과 결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청년의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